당나귀.
픽사베이
픽사베이
3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55개 국가로 구성된 아프리카연합(AU)은 지난달 당나귀 도살과 당나귀 가죽 수출을 15년간 금지할 것을 촉구하는 보고서를 채택했다.
이 보고서의 권고사항은 내년 2월 AU 총회에 상정될 예정이다.
아프리카는 당나귀의 조상이 유래한 지역으로 현재도 세계 당나귀의 약 3분의 2가 살고 있다. 그 중 1000만 마리 이상이 살고 있는 에티오피아는 ‘세계 당나귀 슈퍼파워’로 불린다.
탄자니아와 코트디부아르 등의 국가에서는 이미 당나귀 가죽 거래를 금지했다. 케냐에서는 2020년 중국이 소유한 당나귀 도살장 4곳이 절도 증가 속에 폐쇄됐다.
당나귀.
픽사베이
픽사베이
가축화된 동물 중 하나인 당나귀 개체 수가 급감하는 ‘어불성설’ 같은 상황의 배경엔 중국이 자리하고 있다.
당나귀 가죽과 내장 등을 고아 굳힌 아교를 ‘어자오’(阿膠)라고 하는데, 중국의 전통 중의학에서 어자오가 성 능력 증진과 미용, 노화 방지 등에 효과가 있다고 믿어 약재로 널리 사용해왔기 때문이다.
‘황제의 약’이라고 불릴 정도로 귀한 대우를 받았던 어자오는 중국의 경제가 발전하면서 부유층이 늘어나자 그 수요가 크게 늘었다.
중국 산둥어자오산업연합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어자오 시장은 2013년 196억 위안(약 3조 6000억원)에서 2020년 535억 위안(약 9조 8000억원) 규모로 커졌다.
시드니대 로런 존스턴 부교수가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문제연구소의 의뢰로 한 연구에 따르면 중국은 어자오 수요를 위해 연간 500만 마리 이상의 당나귀를 필요로 하며 이는 전세계 당나귀 개체수의 약 10%에 해당한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약 200만개의 당나귀 가죽만 생산할 수 있고 나머지 300만개의 가죽은 수입하고 있는데 그중 25∼35%는 영세 농부로부터 훔친 당나귀에서 얻은 것이다.
당나귀 개체 수 급감은 한 생물종의 위기인 동시에 가난한 나라 주민들의 생존도 위협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중국은 1992년 이후 자국 당나귀 수가 80% 가까이 감소하자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등지로부터 당나귀를 수입하기 시작했다.
당나귀.
픽사베이
픽사베이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의 높은 당나귀 가죽 수요가 어자오를 위한 당나귀 공급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가난하고 지리적으로 소외된 사람들에게 노동력을 제공하는 동물로서의 당나귀의 가용성 전체를 위험에 빠트렸다고 지적한다고 존스턴 부교수는 말했다.
아프리카나 중앙아시아, 중남미의 빈곤국, 또는 경제적으로 낙후한 시골 지역에서는 당나귀가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짐이나 사람을 싣는 역할까지 대신하고 있다.
SCMP는 “중국의 맹렬한 어자오 수요는 자국 당나귀 부족을 낳을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불법 거래를 부추기고 있다”며 “아프리카와 브라질의 움직임은 당나귀 가죽 거래에서 가장 큰 두 시장으로부터의 공급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당나귀 보호소’는 이를 통해 어자오 업계가 지속 가능하고 잔인하지 않은 대안을 모색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