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대러시아 군수물자 제공 경로
1. 러시아 국기를 단 화물선 앙가라호가 올해 9월 7일 북한 북동쪽 나진항에서 컨테이너 약 300개를 싣고 러시아로 출발하는 장면이 인공위성에 처음 포착됐다.
2. 올해 9월 12일 러시아 극동 지역 두나이 보안항구에 도착한 컨테이너들은 화물열차로 옮겨졌다.
3.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지나 운반된 이 컨테이너들은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에서 약 290㎞ 떨어진 러시아 남서부 티호레스트크 근처 탄약고에 10월 1일 도착했다.
지난 10월부터 12월까지 촬영된 나진항의 위성사진을 보면 나진항에서 러시아로 가는 컨테이너 선박이 꾸준히 포착되고 있다.
자료 : 미 백악관
1. 러시아 국기를 단 화물선 앙가라호가 올해 9월 7일 북한 북동쪽 나진항에서 컨테이너 약 300개를 싣고 러시아로 출발하는 장면이 인공위성에 처음 포착됐다.
2. 올해 9월 12일 러시아 극동 지역 두나이 보안항구에 도착한 컨테이너들은 화물열차로 옮겨졌다.
3.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지나 운반된 이 컨테이너들은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에서 약 290㎞ 떨어진 러시아 남서부 티호레스트크 근처 탄약고에 10월 1일 도착했다.
지난 10월부터 12월까지 촬영된 나진항의 위성사진을 보면 나진항에서 러시아로 가는 컨테이너 선박이 꾸준히 포착되고 있다.
자료 : 미 백악관
블룸버그통신은 26일(현지시간) “지난 10월부터 12월까지 촬영된 북한 나진항의 위성사진을 비교한 결과 나진항에 선박이 꾸준히 드나들고 있고, 수백개의 컨테이너가 운반되고 있고, 기차에 물품을 실을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위성 사진에 포착된 러시아의 선적들은 대부분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끄고 이동해 ‘유령선’처럼 해상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다고도 전했다.
북한은 무기 제공 사실을 줄곧 부인해왔으나 지난 9일에 촬영된 사진을 보면 나진항에서 미국의 제재를 받은 러시아 컨테이너선 안가라호가 화물을 하역하는 동안 인접한 부두에서 북한산 컨테이너가 적재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씽크탱크 오픈뉴클리어네트워크(ONN)의 신재우 분석가는 “위성사진을 보면 나진항에서 두나이항까지의 화물선 왕복 운항은 3개월째 줄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지난달 “북한이 지난 8월 이후 러시아에 100만발 이상의 포탄을 공급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정도 분량의 포탄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두 달 이상 사용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북한무기 전문가 주스트 올리먼스는 “속도로 추정해봤을 때 11월 이후 포탄 50만개를 추가로 거래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러시아가 북한과 최근 거래한 무기 중에서는 120㎜ 박격포와 122㎜ 및 152㎜ 포탄, 122㎜ 로켓탄 등이 전장에서 발견됐다”고 말했다. 올리먼스는 북러 무기 거래로 인해 “우크라이나 전장의 상황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이는 러시아가 어떤 전략의 큰 변화를 가져오기보다는 우크라이나군을 향해 더 오랜 기간 동안 높은 강도의 압박을 유지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월 북러 무기 거래 정황에 대한 보고서를 냈던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도 북한의 무기 지원이 계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RUSI 연구원 조지프 바이런은 “같은 선적을 이용한 지속적인 배달이 있어 왔다”며 해당 선적들이 “러시아에서 싣고 간 상자들을 나진항에 내려둔 뒤 북한에서 열차를 이용해 가져온 컨테이너들을 싣고 러시아의 군사 시설로 되돌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1차 핵실험이 이후 15년간 유엔 안보리 제재를 받아온 북한은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하며 자국 경제 활성화를 노리고 있다. 반면 러시아는 전쟁 장기화로 부족해진 탄약 공급원으로 북한을 이용하고 있다. 러시아는 2014년 크림반도 침공 이후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당시 기준 영토의 17.5%를 점령했다. 지난 6월초 시작된 우크라이나의 대반격이 실패로 돌아간 뒤 전황은 교착상태에 빠졌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 등 국제사회 지원이 줄어들길 기다리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