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청년들이 페루 리마의 호르헤 차베스 국제공항에서 텔아비브행 비행기에 탑승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2023.10.10 EPA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0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청년들이 페루 리마의 호르헤 차베스 국제공항에서 텔아비브행 비행기에 탑승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2023.10.10 EPA 연합뉴스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와 닷새째 교전을 벌이는 이스라엘이 항공편까지 추가 도입해 예비군 동원에 박차를 가한다고 로이터 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 항공사 ‘이스라에어’는 사이프러스 라르나카, 그리스 코르푸, 조지아 바투미에서 이스라엘로 귀국하는 항공편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스라엘 국영 항공사 ‘엘알’은 그리스 아테네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을 추가했고 ‘아르키아 항공’도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이스라엘 수도 텔아비브로 돌아오는 항공편을 제공하기로 했다.
앞서 9일 이스라엘은 예비군 총 30만명을 소집했다고 밝힌 바 있다. 여기에 항공편 추가 배정 등 조치에 따라 지금까지 동원된 예비군 수는 약 36만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이스라엘 인구(약 920만 명) 약 4%에 해당하는 수준이자 이스라엘에서 50년 만에 가장 큰 규모의 예비군이 동원된 사례다.
1973년 10월 6일 ‘욤키푸르 전쟁’으로 불리는 제4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을 때 이스라엘은 예비군 약 40만 명을 소집했다. 유대교 주요 명절 중 하나인 ‘속죄의 날’이었던 이날 이집트와 시리아 군대가 무방비 상태인 이스라엘을 침공하면서 당시 19일간 전쟁이 이어졌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이번 이스라엘 사례처럼 빠르게 예비군을 소집하는 건 다른 국가에서는 불가능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평가다.
다만 이번 동원령에 대한 이스라엘 국민의 여론은 엇갈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에 거주하는 탈 카수토는 텔아비브에 있는 23세 누이가 동원됐다면서 그가 입대하는 데 대해 “무서운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