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 귀여움’ 판다 털색깔 흰색+검정색인 반전 이유

‘치명적 귀여움’ 판다 털색깔 흰색+검정색인 반전 이유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1-10-28 19:28
수정 2021-10-28 19: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개국 연합 연구팀, 과학 저널 통해 포식자의 시각에서 판다를 본 분석 결과 발표

국내에서 태어난 최초의 ‘아기판다’인 푸바오가 20일 경기 용인 에버랜드에서 비대면으로 진행된 ‘랜선 돌잔치’ 도중 돌잡이로 마련된 ‘워토우’(판다가 먹는 빵)를 집어든 모습. 에버랜드 측은 돌잡이를 위해 건강을 상징하는 당근, 장수를 의미하는 대나무, 인기를 상징하는 사과, 행복의 의미가 있는 워토우를 준비했다.  삼성물산 제공
국내에서 태어난 최초의 ‘아기판다’인 푸바오가 20일 경기 용인 에버랜드에서 비대면으로 진행된 ‘랜선 돌잔치’ 도중 돌잡이로 마련된 ‘워토우’(판다가 먹는 빵)를 집어든 모습. 에버랜드 측은 돌잡이를 위해 건강을 상징하는 당근, 장수를 의미하는 대나무, 인기를 상징하는 사과, 행복의 의미가 있는 워토우를 준비했다.
 삼성물산 제공
흑백의 대비가 선명한 판다곰 털색깔의 비밀이 밝혀졌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28일 자이언트 판다의 블랙 앤 화이트 털색깔은 야생에서 위장 효과를 노린 것이란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전했다. 물론 우리는 동물원에서 ‘위장한’ 판다를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말이다.

핀란드, 중국, 영국, 미국의 과학자들은 이날 발표된 ‘사이언티픽 리포트’ 저널에 “자이언트 판다의 흑백 털은 자연 생태계에서 추격을 방지하기 위한 은폐의 한 종류”라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인간이 판다를 매우 쉽게 인식하는 이유에 대해 이는 우리가 판다를 주로 동물원이나 사진을 통해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브리스톨대 생물과학 교수 팀 카로는 “같은 연구팀의 중국인 동료가 야생에서 찍은 사진을 보내왔을 때 자이언트 판다가 사진 속에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다”고 털어놓았다.

카로 교수는 “만약 내가 좋은 시력으로 야생의 판다곰을 찾아내지 못했다면, 시력이 더 나쁜 다른 포식자들은 아마 판다를 보지 못할 것”이라며 “이는 객관적으로 설명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에버랜드 아기판다 푸바오, ‘첫돌’ 랜선 돌잔치
에버랜드 아기판다 푸바오, ‘첫돌’ 랜선 돌잔치 에버랜드는 20일 오전 판다월드에서 푸바오의 첫 생일을 축하하는 랜선 돌잔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랜선 돌잔치는 판다월드 개장 전에 동물원 일부 직원들만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돌잡이, 생일축하 편지, 선물 증정 등으로 진행된 생일파티 현장은 에버랜드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고객들에게 생방송으로 중계됐다. 사진은 엄마(아이바오)와 놀고 있는 에버랜드 아기판다 푸바오. (에버랜드 제공) 2021.7.20/뉴스1
과학자들은 15마리의 야생 판다 사진을 분석한 뒤 판다의 검은색 털은 그늘과 나무 줄기와 섞이는 반면 흰색 털은 잎과 눈 색깔, 중간 털색깔은 바위 및 땅과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멀리서 보면 자이언트 판다는 윤곽이 흐트러지고, 가까이서 보면 배경색과 일치해 야생 자연 속에서는 판다를 찾아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인간은 물론, 개와 고양이의 시각에서 본 것과도 동일했다. 개와 고양이의 시각에서 판다를 본 분석은, 야생 포식자들이 판다를 보는 시점과 같다.

얼룩말, 스컹크, 범고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동물은 갈색이나 회색 털빛깔을 띠기 때문에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판다의 흑백 털무늬의 기능에 대해 고심해왔다.

그동안 판다가 고유의 털색깔로 호랑이, 들개, 표범과 같은 포식자에게 우리는 먹이감으로 적당하지 않다는 신호를 보낸다는 주장이 있었다.

현재 중국 남부의 쓰촨, 산시, 간쑤성에는 약 1900마리의 야생 판다가 살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