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마지막 휴대폰 공장이 떠난 중국 도시 왜 활기찾았나

삼성 마지막 휴대폰 공장이 떠난 중국 도시 왜 활기찾았나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1-10-06 20:49
수정 2021-10-06 2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2년 간의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도, 베트남 등 중국의 공장이 이전했던 국가가 타격 입어

2019년 삼성전자의 통근버스로 가득했던 광둥성 후이저우시가 삼성 공장의 폐쇄 이후 활기를 되찾고 있다. 출처:SCMP
2019년 삼성전자의 통근버스로 가득했던 광둥성 후이저우시가 삼성 공장의 폐쇄 이후 활기를 되찾고 있다. 출처:SCMP
한국의 삼성이 30년 가까이 휴대전화 공장을 운영했다가 2년전 떠난 중국의 도시가 활기를 되찾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6일 2019년 10월 삼성이 휴대전화 공장을 베트남으로 이전하면서 광둥성 후이저우시는 황폐화됐다고 전했다. 후이저우에는 삼성의 마지막 휴대전화 공장이 남아있었다.

삼성 공장 근처에 있던 상점부터 식당은 모두 문을 닫았고, 지역 부동산 가격은 폭락했다.

후이저우에서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리동은 10곳 가운데 8곳에서 공가가 발생했다면서, 삼성 공장 없이는 지역 경제가 살 수 없다는 사실에 한탄했다고 털어놓았다.

하지만 이제 식당이 문을 열게 된 것은 삼성 공장이 있던 3만 6000여평 땅에 TCL 공장이 들어섰기 때문에 가능해졌다.

삼성의 푸른색 상징은 10m 길이의 붉은색 로고로 바뀌었고, 그 내용은 7월 5일부터 생산을 시작해 다양한 직종에서 채용을 한다는 것이다.

후이저우시를 찾은 한 여성은 건강하기만 하다면 당장 내일부터 공장에서 일할 수 있다면서, 이미 2000며명의 근로자가 근무 중이라고 설명했다. 청소부, 요리사, 창고 관리사, 품질 관리사 등 여러 직종에서 사람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후이저우에 있었던 한국 삼성전자의 공장. 출처:바이두
후이저우에 있었던 한국 삼성전자의 공장. 출처:바이두
삼성 공장의 폐쇄는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발발하기 전에 이루어졌으며 당시에는 미국의 트럼프 전 행정부와 중국 간에 무역전쟁이 극심하던 때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규제를 통해 ‘세계의 공장’인 중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자 했다.

2년이 지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규제는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문서 속에서나 남게 됐고, 오히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의 상승이 중국의 생산력에 타격을 입혔다.

그러나 중국의 생산력은 지난달 애플의 아이폰을 생산하는 정저우의 폭스콘이 20만명의 근로자를 고용할 정도로 되살아나고 있다. 특히 인도와 베트남에서 코로나 감염속도가 확산하면서 아이폰 생산에 지장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중국으로부터 생산 기지 이전을 검토했던 국제 브랜드들이 이전 계획을 재검토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미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 기지를 옮긴 업체들은 코로나 대유행으로 피해를 입은 반면, 중국에 남아있는 업체들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중국, 인도, 베트남에서 신발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업체의 한 임원은 그동안 생산의 다변화를 꾀하고, 중국의 관세 문제나 인건비 상승 때문에 중국 내 공장을 이전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년 간의 코로나 사태로 인건비 상승 외에 원자재 가격 및 물류 비용 상승과 같은 다양한 변수가 등장했다고 강조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