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투명 행태 보여온 일본정부·도쿄전력 불신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지난해 9월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해 폐로 작업이 진행 중인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오염수 처리장치 제대로 작동하는지도 의문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대해 안전하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자국 내에서도 정부와 도쿄전력에 대한 불신이 크다며 ‘그렇게 안전하다면 카메라 앞에서 오염수를 마셔 보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오염수 방류를 둘러싼 논란은 일본 정부나 도쿄전력이 그간 원전과 관련해 투명하지 않은 행태를 보여오면서 불신을 자초한 결과라는 지적이다.
19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전날 후쿠시마현 이와키시에서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설명회를 열었지만, 참석자들은 일본 정부의 구상에 공감하지 않았으며 여러 가지 우려를 제기했다.
노자키 데쓰 후쿠시마현 어업협동조합 연합회 회장은 방류 구상에 대해 “(후쿠시마에) 정착해서 어업하는 입장에서 반대”라고 말했다.
간노 다카시 후쿠시마현 농업협동조합 중앙회 회장은 인접 국가들이 후쿠시마산 농산물의 수입을 계속 규제하는 상황을 거론하며 일본 측의 계획이 타국의 공감을 얻지 못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설명회에서는 안전대책에서 불상사가 이어지는 도쿄전력을 신뢰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지자체로부터 제기됐다고 도쿄신문은 전했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에 오염수를 담아둔 대형 물탱크가 늘어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모타니 수석연구원은 “삼중수소 외에도 방사성 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이유를 추정하고서 “그렇다면 삼중수소 이외의 방사성 물질은 배출 기준 이하라는 것을 제3자가 검증하면 된다”고 의견을 밝혔다.
그는 “그렇게 한 후 도쿄전력 경영진이나 정치가 등이 카메라 앞에서 ‘처리수’를 희석하고 끓여서 마시는 정도의 것을 하면 어업에 생기는 ‘뜬소문 피해’도 발생하지 않는 게 아닐까”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것을 하지 않고서 ‘설명’만 거듭해선 세상의 신뢰를 얻을 수 없고 후쿠시마의 고통은 경감되지 않는다”며 “부족한 것은 삼중수소에 대한 ‘이해’가 아니라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의 ‘신용’인 것이다”라고 꼬집었다.
2011년 3월 14일 위성 촬영한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제1원전 3호기에서 노심용융(멜트다운)과 수소 폭발이 발생한 모습이 보인다.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교도통신에 따르면 방사성 물질을 걸러내는 설비 등의 문제로 인해 원전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 125만t(지난달 기준) 중 약 70%에는 제거되어야 했을 각종 물질이 일본 정부 기준보다 많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인터넷 매체 닛칸겐다이의 최근 보도에 의하면 도쿄전력은 ALPS의 본격 가동에 필요한 ‘사용 전 검사’를 마치지 않아 2013년부터 8년간 ‘시험 운전’ 상태였다.
후케타 도요시(更田豊志) 일본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은 “오염수를 어떻게 처리해서 저류(물 등을 모아둠)할지가 매우 급했다”고 14일 참의원 자원에너지조사회에 출석해 이유를 설명했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2017년 10월 선거운동차 원전사고가 발생했던 후쿠시마에 들러 후쿠시마산 쌀로 만든 주먹밥을 시식하고 있다. 2017.10.10
EPA 연합뉴스
EPA 연합뉴스
당시 도쿄전력은 ‘원인 규명에 신경을 쓰다 보니 적시에 공표하지 못했다’는 취지로 해명했으나 공감을 얻기는 어려웠다.
올해 2월 후쿠시마에 규모 7.3의 강진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도쿄전력이 고장난 지진계를 방치한 사실이 드러나 리스크 관리 태세에 대한 의문을 키웠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에도 쓰나미 강타 이후 수습 과정에서 도쿄전력이 총리에게조차 잘못된 보고를 하면서 사고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온 바 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