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조원 기부만큼 충격? 딸 애칭이 맥스?

52조원 기부만큼 충격? 딸 애칭이 맥스?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5-12-02 21:33
업데이트 2015-12-02 2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딸 맥스´ 15년 동안 150명 미만

 첫 딸의 출산에 맞춰 1일(현지시간) 페이스북 보유 지분의 99%를 기부키로 한 마크 저커버그와 프리실라 챈. 450억 달러(약 52조 4000억원)란 사상 최대 기부액에 가려 주목받지 못했던 딸의 애칭 ‘맥스’(Max)가 뒤늦게 대중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보통 사내 아이 이름으로 쓰는 통념과 다르게 딸을 ‘맥스’로 부르기로 했기 때문이다. 맥스는 본명 ‘맥시마’(Maxima)의 애칭인데, ‘최대치’라는 맥시마의 뜻에 맞지 않게 딸 맥스는 3.4㎏의 표준 몸무게로 태어났다.

 ‘맥스’란 이름을 심층취재한 미국 시사잡지 타임은 2000년 이후 미국에서 태어난 딸 중 이 이름으로 불린 아기가 150명도 안된다고 보도했다. 연도별로 2000년 8명, 2001년 9명, 2002년 9명, 2003년 0명, 2004년 13명, 2005년 7명, 2006년 12명, 2007년 8명, 2008년 6명, 2009년 10명, 2010년 8명, 2011년 8명, 2012년 15명, 2013년 19명, 지난해 14명 등이다. 2012년 이후 두 자릿수가 되긴 했지만, 2013년 미국 출생아수가 393만 2181명에 달한 점을 감안하면 ‘희귀한 딸’인 셈이다.

 그러나 저커버그의 딸 맥스가 출생과 함께 역사를 바꾸는 반전의 가능성은 남아있다. 타임은 “배우 제시카 심슨이 2012년 자신의 딸의 이름을 남자 이름인 ‘맥스웰’로 지은 뒤 많은 부모들이 신생아 딸을 ‘맥스웰’이라고 부르는 작은 유행이 퍼졌다”고 전했다. 딸 맥스웰은 2013년 26명, 지난해 34명으로 소폭 늘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