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인터넷차단·검열 우려…오프라인 채팅앱 사용 급증

홍콩, 인터넷차단·검열 우려…오프라인 채팅앱 사용 급증

입력 2014-09-30 00:00
업데이트 2014-09-30 14: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대대적인 인터넷 검열…홍콩서 하루 새 10만 명 ‘파이어챗’ 가입

홍콩 오프라인 채팅’앱’ 증가 왜?
홍콩 오프라인 채팅’앱’ 증가 왜? 중국 당국의 홍콩 행정장관 선거안에 반대하는 홍콩 친(親)민주 학생 등 시위 참가자들이 30일(현지시간) 정부청사 주변 도로를 점거한 채 수면 등 휴식을 취하고 있다.
AP=연합
중국의 행정장관 선거안에 반대하는 홍콩 시위가 격화하면서 중국 당국의 인터넷 검열 및 차단 가능성도 커지는 형국이다.

중국 본토에서는 홍콩시위 관련 보도가 통제되고 SNS가 차단된 가운데 홍콩에서는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아도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채팅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홍콩 시위대를 중심으로 하루 만에 10만 명이 오프라인 채팅앱인 ‘파이어챗’에 가입했으며, 시위 첫날밤 파이어챗 동시 접속자 수는 3만 3천 명까지 치솟았다고 29일 보도했다.

파이어챗은 인터넷에 연결돼 있지 않아도 이용자가 반경 70m 안에만 있으면 블루투스를 이용해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 채팅앱이다.

홍콩과기대에 다니는 카일 후이(19)는 “시위 참가자들은 보호 안경이나 수술용 마스크 등 필요한 물품을 알리거나 시위 작전을 공유할 때 파이어챗을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홍콩에서 파이어챗이 폭발적인 인기를 끈 것은 당국이 인터넷을 끊거나 검열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은 홍콩에서 시위가 시작된 이후부터 대대적인 인터넷 검열을 통해 SNS인 시나(新浪) 웨이보(微博)와 검색엔진 바이두(百度)에서 시위 관련 내용을 삭제했다.

사진 공유 SNS인 인스타그램의 접속도 27일부터 차단됐으며, 인터넷 업체 텐센츠의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인 위챗(웨이신·迷信)의 메시지도 지워지고 있다고 인터넷 감시단체들이 밝혔다.

미국의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도 중국 정부가 지난 6월 텐안먼(天安門) 민주화 운동 25주기 당시보다도 배로 엄격하게 인터넷 검열에 나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파이어챗을 이용하면 중국 정부의 엄격한 인터넷 검열체제인 ‘만리장성 방화벽’(The Great Firewall)을 비켜 홍콩 시위 소식이 본토에 전파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NYT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