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벌초와 벌 주의보/박현갑 논설위원

[씨줄날줄] 벌초와 벌 주의보/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23-09-08 02:02
수정 2023-09-08 02: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벌초 시즌이 돌아왔다. 이달 말 추석 명절을 앞두고 돈을 주고 조상묘의 잡풀을 제거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고향에 가서 벌초하는 사람들도 여전히 있다.

벌초는 한식이나 추석 전에 한다. 부모, 조부모 등 직계 조상의 묘가 대상이다. 벌초에는 주의할 게 한둘이 아니다. 산속에 있는 산소일수록 무성하게 자란 풀과 잡목을 헤치며 가야 한다. 가는 도중 가시에 찔릴 수도 있고, 잡풀 속 뱀을 잘못 건드려 물릴 수도 있다. 예초기나 낫 준비는 기본이다. 보호안경에 군화 같은 목 있는 신발에다 벌레를 퇴치할 스프레이도 챙겨야 한다. 특히 예초기 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예초기를 돌리다 벌집을 잘못 건드려 벌에 쏘여 다치거나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풀을 깎다가 돌이 튀면서 눈을 다치는 경우도 많다.

질병관리청에서 벌초객이나 가을 산행객들이 참고할 만한 벌쏘임 주의 요령을 내놨다.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결과 최근 5년간(2017~2021년) 5457건의 벌쏘임 사고로 151명이 입원하고, 24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발생 시기를 보면 벌초, 성묘, 단풍놀이 등으로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9월(25.3%)이 가장 많았다.

벌에 쏘이지 않으려면 향수나 화장품 사용을 자제하고 어두운색 대신 흰색 등 밝은색에 팔다리를 가리는 옷을 입는 게 좋다. 벌집을 건드렸다면 20m 이상 대피해야 한다. 벌침 제거는 벌침을 체내로 흡수시킬 위험성이 높은 핀셋이나 손 대신 신용카드 등으로 긁어내는 게 좋다. 침을 빼고 나면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고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한다. 구토나 호흡곤란 등 아나필락시스가 의심되면 119에 신고한다.

벌초 문화는 조만간 사라질지 모른다. 역귀성객이 늘면서 귀성 문화가 바뀌었듯 벌초 문화도 직접 벌초에서 대행 벌초로 많이 바뀌었다. 도시화와 핵가족화 등으로 고향을 찾는 후손들이 점차 줄고 있다. 고향을 지키는 친지들도 고령화로 직접 벌초보다는 대행업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매장 대신 화장이 대세가 된 지 오래다. 고향을 찾아가 벌초를 하지 않고 대행업체 송금으로 벌초를 맡기면 벌에 쏘일 염려는 사라진다. 하지만 고향과의 연결 고리는 그만큼 약해지기 마련이라 안타깝다.
2023-09-0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