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께는 월북 작가 상허 이태준의 수필집을 들추다 또 한참 시선이 멈췄다. 몇 번을 읽으면서도 무심히 넘겼던 문장이 새삼 눈에 들어왔다. “적어도 천명(天命)을 안다는 50에서부터 60, 70, 100에 이르기까지 그 총명, 고담(枯淡)의 노경(老境) 속에서 오래 살아 보고 싶다.” 좋은 글을 쓰고 싶어 오래 살고 싶다던 작가는 1956년 겨우 쉰 살을 넘기고 떠났다. 상허가 이 시대를 살았더라면. 보석 같은 ‘무서록’이 그의 말대로 노경 속에서 몇 권은 더 빚어졌겠지. 일상 곳곳에서 전에 없던 생각들에 자꾸 발이 걸린다. 나이 탓이다.
한국인 기대수명이 83.6년. 그제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건통계에서는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OECD 38개 회원국 중 일본, 스위스 다음으로 높았다. 기대수명은 출생아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 이번 통계는 2021년 기준이니 그해 태어난 우리나라 아이의 평균수명이 83.6년이라는 얘기다.
OECD 평균 기대수명은 몇 년간 계속 뒷걸음질쳤다. 2019년 81년이던 것이 2020년 80.6년, 2021년 80.3년으로 줄었다. 그 와중에도 우리나라는 꾸준히 상승세다. 세계적 저출산 국가인 우리는 이래저래 지구촌 인구학자들에게는 ‘연구 대상’일 만하다. 예방과 치료로 질병을 막을 수 있는 사망을 뜻하는 ‘회피가능사망률’도 우리는 눈에 띄게 낮았다. 인구 10만 명당 142명으로 OECD 평균(239.1명)과는 차이가 크다. 이렇게 낮은 사망률은 그만큼 의료서비스 수준이 높다는 방증이다.
99세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3일만 앓다 죽으면(死) 행복. 이런 뜻의 ‘998834’를 신조어로 내놓고는 모두가 유쾌해하던 때가 우리에게도 있었다. 아련하고 오래된 농담이 됐다. 55~79세 고령층의 1인당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75만원. 이 돈마저 못 받는 이가 절반. 그제 나온 통계청 조사치다.
2023-07-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