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금융비서’, 마이 데이터/박현갑 논설위원

[씨줄날줄] ‘금융비서’, 마이 데이터/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21-11-30 22:08
수정 2021-12-01 14: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거노인 등 소외된 이웃에게 사람의 손길만큼 좋은 게 없다. 사회복지사들이 이런 일을 맡지만 요구르트 배달원들도 있다. 이들은 요구르트를 건네면서 위기에 처한 노인을 발견해 119에 신고하고, 말벗도 돼 주는 사회복지사 역할도 한다. 요즘은 여기에 인공지능(AI)이 가세했다. 부산 해운대구에 사는 독거노인들은 지난달 29일부터 AI가 거는 안부전화를 일주일에 두 번씩 받는다. 50년간의 뉴스분량 데이터를 학습한 AI 상담원이 자식처럼 말을 건다. 불면증을 호소하면 커피를 줄이라고 말하는 식이다. 정부도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나섰다. 2014년 이른바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 건강보험공단, 한국전력 등 18개 기관은 체납, 단전, 단수 등 34개 정보를 모아 위기에 처한 가구를 파악해 맞춤형 대처를 하고 있다.

소싸움으로 유명한 청도도 빅데이터를 활용했다. 손님들의 소싸움장 이용 시간을 분석한 청도공영사업공사가 지난 8~10월 3개월 동안 첫 경기 시작 시간을 기존의 오전 11시에서 정오로 바꾼 것이다. 그랬더니 2019년 첫 경기 평균 매출액 1100만원보다 600여만원 많은 1700만원이 나와 내년에도 소싸움 시작 시간을 늦춘다고 한다.

빅데이터 기술이 가져온 긍정적 효과들이다. 잘만 활용하면 국민의 삶을 이롭게 하고, 부가가치도 창출한다. 그러나 잘못 사용하면 국민들이 피눈물만 흘릴 수 있다. 보이스피싱에다 성을 사는 남성들의 성적 취향과 전화번호 등을 데이터화한 앱이 나오는 등 부작용도 적지 않다.

오늘부터 금융권에서 고객 동의 아래 회원의 거래 정보를 통합관리해 신용, 자산관리 등 개별 회원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이른바 ‘마이데이터‘ 사업이 시작된다. 내년 전면 시행에 앞선 시범실시로 은행, 카드사, 증권사 등 17개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참여한다. 개인은 휴대폰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정보를 통합관리할 수 있다. 이용 빈도가 높은 계좌 잔액과 거래내역 상환 정보는 물론 통신요금과 소액결제 이용 내역 등을 한눈에 관리할 수 있다. 내년부터는 국세, 지방세 납부 내역과 건강보험료 납부 정보도 제공된다.

데이터가 자산인 시대다. 마이데이터 사업이 일자리 창출과 금융혁신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의료, 쇼핑 정보와 결합되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다. 혈압, 당뇨 등 건강관리는 물론 좋아하는 의류 신상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정보 안내 등 다양한 서비스가 나올 수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 통합 과정에서 해킹에 따른 사생활 노출 등 정보인권 침해는 막아야 한다. 정부가 사업자의 IT 보안 능력과 정보보호 능력을 엄격히 평가해야 한다.
2021-12-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