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마우지의 타고난 강태공 기질을 이용한 고기잡이가 ‘가마우지 낚시’다. 가마우지를 길들여 목 아래에 끈을 묶은 뒤 잡은 물고기를 삼키지 못하고 내뱉도록 하는 고기잡이 기술이다. 중국 당나라 때인 636년에 발간된 수나라 역사책 ‘수서’(隋書)에 “고대 일본의 전통 낚시법”으로 적혀 있다고 하니 그 역사가 적어도 1300년은 넘는 듯싶다. 일본과 중국은 물론 고대 그리스와 북마케도니아의 어부들이 가마우지 고기잡이를 즐겼고, 16~17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도 유행했다고 한다. 지금은 어업보다 관광산업에 활용되고 있다. 일본 기후현 나가라강의 ‘우카이’(가마우지 낚시) 관광 상품이 대표적이다.
일본 경제평론가 고무로 나오키는 1989년 저서 ‘한국의 붕괴’에서 핵심 부품·소재 대부분을 일본에 의존하는 한국 수출구조의 취약성을 가마우지에 비유했다. “목줄(부품·소재산업)에 묶여 물고기(완제품)를 잡아도 곧바로 주인(일본)에게 바치는 구조”라는 것이다. 부품·소재 산업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뼈아픈 지적이었다.
이후 우리 자체 기술력을 키워 국산화율을 높이자는 주장이 커졌지만,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대기업 중심 정책에 힘이 실리며 중소기업 육성의 동력은 약화했다. 휴대폰,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력 업종의 완성품 수출이 많아질수록 부품과 소재를 대주는 일본이 더 많은 부가가치를 챙기는 걸 눈뜨고 뻔히 보면서도 손놓은 결과가 작금의 현실이다.
‘가마우지 경제’라는 굴욕적인 용어가 등장한 지 꼭 30년. 정부가 일본의 부당한 경제전쟁에 맞서 가마우지 경제 탈피를 잇따라 강조하고 있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지난 2일 “가마우지 경제 체제로부터 탈피해야 한다”고 밝힌 데 이어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어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가마우지 경제를 언급했다. 성 장관은 “우리 모두가 합심한다면 그간의 가마우지를 미래의 펠리컨으로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실속 없이 자기 몫을 뺏기는 가마우지가 아니라 부리에 저장한 먹이로 새끼를 키우는 펠리컨처럼 우리 것을 더 크게 만들겠다는 의미라고 한다. 이번엔 반드시 달라져야 한다.
coral@seoul.co.kr
2019-08-06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