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귀신 영화는 토속적 무속신앙을 토대로 한 게 많다. 억울한 죽임을 당한 이의 한풀이가 주요 소재다. 그와 달리 파묘는 악귀를 무찌르는 서구적 프레임에 풍수사상을 토대로 ‘친일파 척결’이란 역사성을 심은 게 관객의 흥미를 한껏 끌어올린 듯했다. 영화 속 무당 김고은의 굿 장면이 어릴 적 기억을 소환했다. 칼을 들고 춤을 추고 동물 피를 뿌리고 하는 풍경. 무서웠지만 끝까지 눈을 떼지 못했었다. 귀신이 없다고 확신하면서도 보이지 않는 뭔가 있을지 모른다는 잠재의식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관객이 끊이지 않는 것도 그 때문인 듯싶고.
2024-03-0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