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수도 오슬로 북부의 산림지대 노르드마르카에는 특별한 나무 1000그루가 자라고 있다. 2014년에 심어진 이 나무들의 쓰임새는 이미 정해져 있다. 100년 뒤인 2114년에 전 세계 작가 100명의 글 100편을 인쇄하는 데 사용된다. 매년 한 명의 작가가 선정되고, 작품은 미공개 상태로 오슬로 시립도서관 맨 위층에 별도로 만든 ‘침묵의 방’에 보관됐다가 한꺼번에 출간된다.
지극히 아날로그적인 방식의 이 프로젝트 명칭은 ‘미래 도서관’이다. 스코틀랜드 예술가 케이티 패터슨의 아이디어로 5년 전 시작된 노르웨이 공공예술사업을 소설가 한강 덕분에 뒤늦게 알게 됐다. 아시아 작가 최초로 한강이 프로젝트 참여 작가로 선정됐다는 소식이 최근 전해졌다. 타임캡슐에 담긴 비밀 편지처럼 100년 뒤 인류만 읽을 수 있는 종이책이라니, 낭만적이고 아름다우면서도 어쩐지 비장한 느낌이다.
내 마음을 읽기라도 한 듯 한강은 이런 소감문을 썼다. “나는 백년 뒤의 세계를 믿어야 한다. 거기 아직 내가 쓴 것을 읽을 인간들이 살아남아 있을 것이라는 불확실한 가능성을.(…) 종이책의 운명이 백년 뒤의 세계까지 살아남아 다다를 것이라는 위태로운 가능성까지도.” 그의 믿음에 한없는 지지를 보낸다.
coral@seoul.co.kr
지극히 아날로그적인 방식의 이 프로젝트 명칭은 ‘미래 도서관’이다. 스코틀랜드 예술가 케이티 패터슨의 아이디어로 5년 전 시작된 노르웨이 공공예술사업을 소설가 한강 덕분에 뒤늦게 알게 됐다. 아시아 작가 최초로 한강이 프로젝트 참여 작가로 선정됐다는 소식이 최근 전해졌다. 타임캡슐에 담긴 비밀 편지처럼 100년 뒤 인류만 읽을 수 있는 종이책이라니, 낭만적이고 아름다우면서도 어쩐지 비장한 느낌이다.
내 마음을 읽기라도 한 듯 한강은 이런 소감문을 썼다. “나는 백년 뒤의 세계를 믿어야 한다. 거기 아직 내가 쓴 것을 읽을 인간들이 살아남아 있을 것이라는 불확실한 가능성을.(…) 종이책의 운명이 백년 뒤의 세계까지 살아남아 다다를 것이라는 위태로운 가능성까지도.” 그의 믿음에 한없는 지지를 보낸다.
coral@seoul.co.kr
2019-04-30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