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군고구마의 출세/박정현 논설위원

[길섶에서] 군고구마의 출세/박정현 논설위원

입력 2013-01-24 00:00
수정 2013-01-2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러고 보니, 올겨울 길거리에서 군고구마를 본 기억이 없다. 군고구마 봉지를 들고 손을 호호 불어가면서 뜨거운 군고구마 껍질을 까며 길을 걷는 정겨운 모습들은 사라졌다. 올해뿐 아니다. 길거리 군고구마의 기억이 까마득하다. 지난 주말에야 그 이유를 알았다.

백화점 쇼핑을 하다 군고구마가 눈에 띄었다. 아내가 먹고 싶다길래 ‘1500원’이라는 숫자가 눈에 거슬렸지만 집어들었다. 계산대에 섰더니, 3800원이란다. 100g에 1500원이고, 200g을 넘으니 3800원이라는 것. 고구마 쥔 손을 거두기가 멋쩍어 원적외선으로 구워서 비싸다는 직원의 설명을 핑계삼아 고구마를 한 개 샀다. 먹어 보니 꿀맛이긴 하다. 군고구마가 다이어트 건강식품으로 알려지면서 값이 비싸졌고 유럽으로 수출한다는 보도를 본 적이 있지만, 이 정도일 줄이야. 그제서야 길거리에서 군고구마가 실종됐다고 아내가 설명한다. 국민의 대표적 겨울 간식인 군고구마가 이제 백화점에 가서야 만날 수 있는 귀한 몸이 되었다니…. 군고구마! 많이 출세했다.

박정현 논설위원 jhpark@seoul.co.kr

2013-01-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