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짠맛의 추억/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짠맛의 추억/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3-01-10 00:00
업데이트 2013-01-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입맛 중의 최고는 시원한 맛일 게다. 9회 말 역전홈런 같은 맛이라고나 할까. 단맛이나 매운맛도 제맛이 있지만 어디 ‘통쾌무비한’ 시원한 맛에 비할까. 얼마 전 골목 음식맛으로 소문난 서울 무교동 한 음식점에서 색다른 맛 체험을 했다. 풀 방구리 쥐 드나들듯 즐겨 찾던 빌딩 숲 작은 식당, 나는 친구와 함께 그곳에서 해물찌개를 시켰다.

무교동은 낙지요리로 잘 알려져 있지만 인근 골목 음식점마다 ‘한 음식’을 내세운다. 그런데 웬걸, 찌개는 보글보글 끓고 막걸리는 몇 순배 돌았지만 친구의 숟가락 움직임은 둔탁하기만 하다. “맛이 어때”하고 물으니 “좋아”란 외마디 반응이다. 실상을 알아차리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아하 짜구나. 친구는 맨밥을 먹다시피 하더니 이내 자리를 떴다.

무교동 맛을 자랑한 나의 ‘호기’가 부끄러워지는 순간이었다. 뒷골목 음식은 어머니 손맛 같다는데, 어찌 짜고 맵기만 한 맛이 ‘그 맛’이 될 수 있을까. 우리 국민의 76%가 세계보건기구(WHO) 권고량보다 두 배나 많은 나트륨을 먹는다고 한다. 짜디짠 무교동 찌개맛의 추억….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01-10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