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 담론과 함께 전기자동차 보급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역시 크게 확대되고 있다. ‘자동차계의 애플’로 불리는 테슬라의 활약까지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지난 1월 국내에 출시되었던 GM의 ‘볼트’가 사전 계약 개시 3시간 만에 판매분 4700여대가 모두 매진되었다는 뉴스만 보면 소비자들의 관심이 얼마나 높아졌는지를 알 수 있다.
불과 3년 전 전기자동차의 전체 등록 대수가 6000대를 넘지 못했던 점을 생각하면 시장과 기술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도 아니다. 2016년 세계적으로 총 75만대의 전기차가 판매됐고, 전기차 보급에 가장 적극적인 노르웨이의 경우 전기차 판매량이 전체 차량 판매량의 29%까지 이르렀다. 이 때문에 대부분 관련 기관과 회사들은 자동차 시장의 급격한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전기차 보급률에 대한 전망치를 크게 상향 조정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의 국제에너지기구(IEA) 역시 2017년 장기 에너지 전망에서 2040년까지 승용차의 약 14%를 전기차가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우리가 조심해서 해석해야 할 부분 중 하나는 전기차의 보급이 모든 석유 소비의 전기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먼저 내구재인 승용차의 내구연한을 감안할 때, 신규 전기차의 석유제품 소비 대체는 상당 기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기존 내연기관 승용차들의 석유 소비는 일정 기간 유지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전기자동차의 보급은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접하는 승용차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 소비자들의 소비가 대체되면 체감적으로 석유에 대한 전반적인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고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내연기관의 상대적 비교우위를 감안하면 향후에도 승용차를 제외한 화물운송, 항공, 선박에서의 석유 수요는 상당 기간 지속될 수밖에 없다. IEA를 포함해 많은 전문가들은 오히려 향후 화물운송, 항공, 선박에 대한 석유 수요가 204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석유 소비의 대체가 어려운 또 다른 분야 중 하나는 산업 부문이다. 우리가 소비하는 대부분의 석유는 에너지를 만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된다. 하지만 산업 부문에서 소비되는 상당한 물량의 석유는 연료가 아닌 화학제품에 대한 원료(중간재)가 된다. 이 때문에 다른 에너지원으로의 대체가 어렵다. 석유화학 분야에서의 석유 소비는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 경제는 석유화학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산업 부문에서의 석유 소비 역시 향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석유는 우리나라 최종 에너지 수요의 50% 정도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 중 하나다. 향후에도 당분간은 석유 수요가 급격하게 줄어들 가능성은 높지 않다. IEA의 표현을 빌리자면 아쉽지만 결국 “석유의 시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얘기다.
전기자동차에 거는 기대가 큰 이유 중 하나는 모든 사람들이 탈석유를 통해 대기 환경을 개선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당분간 석유 소비를 유지해야 한다면 석유로 인한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역시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석유산업과 석유화학산업은 업종별로 반도체에 이어 각각 수출 2위, 3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산업들이다. 수출 경쟁력 강화, 친환경적 유류세제 개편 등 아직도 고민해야 할 정책들이 많다.
우리의 미래를 생각할 때 당연히 재생 에너지나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의 이용에 대한 투자를 아껴서는 안 된다. 하지만 미래 에너지에 대한 과도한 국가적 관심과 정책으로 인하여 현재 중요한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훼손해서도 안 될 것이다. 결국 현재는 미래에 대한 과도한 환상보다는 미래와 현재의 에너지 사용 간에 균형 잡힌 정책을 만들어야 할 때다.
김형건 강원대 경제ㆍ정보통계학부 교수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도 아니다. 2016년 세계적으로 총 75만대의 전기차가 판매됐고, 전기차 보급에 가장 적극적인 노르웨이의 경우 전기차 판매량이 전체 차량 판매량의 29%까지 이르렀다. 이 때문에 대부분 관련 기관과 회사들은 자동차 시장의 급격한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전기차 보급률에 대한 전망치를 크게 상향 조정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의 국제에너지기구(IEA) 역시 2017년 장기 에너지 전망에서 2040년까지 승용차의 약 14%를 전기차가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우리가 조심해서 해석해야 할 부분 중 하나는 전기차의 보급이 모든 석유 소비의 전기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먼저 내구재인 승용차의 내구연한을 감안할 때, 신규 전기차의 석유제품 소비 대체는 상당 기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기존 내연기관 승용차들의 석유 소비는 일정 기간 유지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전기자동차의 보급은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접하는 승용차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 소비자들의 소비가 대체되면 체감적으로 석유에 대한 전반적인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고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내연기관의 상대적 비교우위를 감안하면 향후에도 승용차를 제외한 화물운송, 항공, 선박에서의 석유 수요는 상당 기간 지속될 수밖에 없다. IEA를 포함해 많은 전문가들은 오히려 향후 화물운송, 항공, 선박에 대한 석유 수요가 204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석유 소비의 대체가 어려운 또 다른 분야 중 하나는 산업 부문이다. 우리가 소비하는 대부분의 석유는 에너지를 만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된다. 하지만 산업 부문에서 소비되는 상당한 물량의 석유는 연료가 아닌 화학제품에 대한 원료(중간재)가 된다. 이 때문에 다른 에너지원으로의 대체가 어렵다. 석유화학 분야에서의 석유 소비는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 경제는 석유화학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산업 부문에서의 석유 소비 역시 향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석유는 우리나라 최종 에너지 수요의 50% 정도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 중 하나다. 향후에도 당분간은 석유 수요가 급격하게 줄어들 가능성은 높지 않다. IEA의 표현을 빌리자면 아쉽지만 결국 “석유의 시대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얘기다.
전기자동차에 거는 기대가 큰 이유 중 하나는 모든 사람들이 탈석유를 통해 대기 환경을 개선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당분간 석유 소비를 유지해야 한다면 석유로 인한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역시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석유산업과 석유화학산업은 업종별로 반도체에 이어 각각 수출 2위, 3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산업들이다. 수출 경쟁력 강화, 친환경적 유류세제 개편 등 아직도 고민해야 할 정책들이 많다.
우리의 미래를 생각할 때 당연히 재생 에너지나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의 이용에 대한 투자를 아껴서는 안 된다. 하지만 미래 에너지에 대한 과도한 국가적 관심과 정책으로 인하여 현재 중요한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훼손해서도 안 될 것이다. 결국 현재는 미래에 대한 과도한 환상보다는 미래와 현재의 에너지 사용 간에 균형 잡힌 정책을 만들어야 할 때다.
2018-03-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