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호 위한 과학기술
육상에서 발생한 생활쓰레기나 산업폐기물 일부는 바다로 흘러든다. 어업활동 중이나 배에서 버려진 각종 플라스틱류, 폐타이어 등도 해양쓰레기가 된다.특히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는 하천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고, 바람과 자외선의 영향을 받아 잘게 조각나서 미세플라스틱이 돼 전 세계 바다를 떠돈다. 이런 부유성 재질은 시간이 흐를수록 바닷물을 머금거나 해양생물이 붙어 무게가 증가하면서 수중으로 가라앉는데, 이렇게 되면 수거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해양쓰레기가 물속으로 가라앉기 전에 빠르게 수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근 해양쓰레기를 대량으로 포집할 수 있는 처리장치가 개발됐다. 드론을 활용해 해양쓰레기 부유지점을 정확히 파악한 뒤 쓰레기 주변에 포집장치를 V자 형태로 설치한다. 최대 반경 7㎞까지 설치가 가능하며, 포집된 쓰레기는 예인선으로 회수된다. 이 장치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해 기동성이 좋을 뿐 아니라 7m의 파고까지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안정성도 뛰어나다. 향후 충분한 실증 테스트를 거쳐 현장에 투입될 계획이다.
해양쓰레기는 발생 원인이 다양한 만큼 하나의 방안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미세플라스틱의 원인이 되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스티로폼 부표 같이 오염원이 될 만한 제품을 친환경 소재로 대체하는 등 우리 모두가 지구환경을 지키기 위한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실천이 필요하다.
박용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기술원
2021-05-0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