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영의 의(醫)심전심] 당신의 가족이라면/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김선영의 의(醫)심전심] 당신의 가족이라면/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입력 2023-09-22 00:52
수정 2023-09-22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환자가 선생님 가족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의사들은 종종 이런 질문을 받는다. 젊었을 때는 “부모님이라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을 환자 삶이 막바지에 다다랐을 때 주로 받았다. 연명치료 결정에 봉착했을 때 가족들은 혼란스러워하며 묻는다. 항암치료를 더 하겠는가, 중환자실에 가겠는가, 호스피스 진료를 받겠는가, 나쁜 소식을 본인에게 어떻게 말해야 하는가.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마음을 거의 굳힌 상태다. 오래전 아버지를 암으로 떠나보냈고, 그 과정에서 생애 말기 고통을 지켜본 어머니는 이미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했다. 보통 이런 질문을 피하지 않는다. 먼저 보호자에게 이야기를 꺼내기도 한다. 나이가 드니 질문 대상이 달라졌다. 환자가 선생님 배우자라면, 형제라면, 본인이라면 이런 질문이다. 질문 내용도 더 복잡하다. 수술과 항암치료 중 어떤 것을 먼저 해야 좋을지, 방사선치료 또는 수술을 하는 것이 좋을지, 임상시험 참여가 좋을지. 망설이는 환자와 가족에게 결정하라고 하면 때로 느닷없이 이런 질문이 내 앞을 막아선다.

의사들은 이런 질문을 좋아하지 않는다. 불쾌해하는 경우가 많다. 갑작스런 감정이입을 요구받는 것이 당황스럽기 때문이다. 달라진 질문에 내가 느끼는 감정도 그랬다. 왜 어떨 땐 잘 대답하면서 어떨 땐 불쾌해질까? 궁금해서 찾아보니 북미의 한 응급의학과 의사가 자신이 운영하는 웹진에 비슷한 내용으로 글을 쓰지 않았겠는가.

그는 이런 질문을 매우 싫어한다는 말로 포문을 연다. 질문 기저에 ‘가족이라면 일반 환자와 다르게 치료할 것’이란 불신이 깔려 있다는 것이다. 그래, 이런 생각 때문에 이 질문이 싫어지는 거지. 점잖게 물어봐도 ‘네 가족이면 이렇게 하겠느냐’는 힐난이 숨어 있는 거지.

그는 다른 방향으로 사고를 전환한다. 불신 때문일 수도 있지만, 정말 혼란스러워서 물어보는 경우도 많다고.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한다며 어려운 결정을 하도록 환자와 가족을 내버려 두면 그들은 이런 질문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게 된다는 것이다. 불확실성이 높은 결정을 해야 할 때 의사는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묻고 그에 맞게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하지만, 그러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이런 질문이 불확실성을 사라지게 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위험에 비해 이득이 높고 불확실성이 적은 결정이라면 의사는 가족에게도 똑같이 치료할 거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득도 위험도 높고 환자마다 상황이 천차만별일 때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매우 어렵다.

글을 읽고서야 ‘당신의 가족이라면’이란 질문에 느꼈던 불쾌감과 난감함의 정체를 이해했다. 그건 나도 모르기 때문이다. 말기암에서 연명치료 위험은 이득보다 훨씬 크므로 의학적 결정이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어떤 임상시험 참여가 좋을지는 나도 모른다. 내가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결국 하겠지만 그것이 최선인지 장담할 수도 없다. 결국 그건 환자가 자신의 가치관과 상황에 맞춰 결정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정보를 주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지 못했다는 방증이었다.
2023-09-22 2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