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라 사회부 기자
지난 19일 ‘등교 확대’를 앞두고 교사들은 전화 너머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기도하는 마음”을 전해 왔다.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되지 않은 채 학생들이 등교하는 상황은 학부모 못지않게 학교와 교사에게도 ‘살얼음판 위를 걷는’ 심정일 것이다.
등교 확대는 더이상의 교육 공백은 안 된다는 위기의식이 커진 일선 학교와 교원단체, 시도교육청 등 현장에서 터져 나온 요구였다. 교육부도 지난 1학기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학교 공동체의 ‘민주적 의사결정’을 존중하고 현장의 자율성에 힘을 실은 것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아직도 ‘자율’과 ‘책임’ 사이에서 고심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둘 중 ‘책임’으로 무게추가 기울면 학교는 최대한 소극적인 방안을 내놓게 마련이다. 서울시교육청이 초등학교 1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매일 등교 방안에 대해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교사들 사이에서 찬성보다 반대 의견이 더 많았던 데서 방역 책임에 대한 학교 현장의 부담을 엿볼 수 있다.
학교가 자율성을 발휘할 여지가 그리 많지 않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직업계고 교장은 ‘300명 내외 학교는 여건을 고려해 전면 등교가 가능하다’는 교육부 지침을 받아 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현장실습을 떠나는 3학년을 제외하면 학교에 남는 학생들은 300여명인 데다 학급당 학생수도 여유가 있는 편이지만, ‘300명 내외’라는 기준에 막혀 ‘3분의2’ 등교를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등교 확대를 반기는 학생과 학부모들이 있는가 하면 여전히 교내 감염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일선 학교와 교육청에는 교외 체험학습 일수를 늘려 ‘등교 선택권’을 달라거나, 최소한 ‘급식 선택권’이라도 달라는 학부모들의 요구가 끊이지 않는다. “만에 하나 우리 아이가 학교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되면 학교가 책임질 것인가”라는 학부모들의 질문에는 학교도, 교사도 답을 내놓기 어렵다. 등교를 늘리기 위해 지난 1학기부터 다양한 실험을 해왔던 한 초등학교 교사는 “다른 지역이나 학교와의 비교, 등교를 둘러싼 각기 다른 요구 사이에서 조율하지 못하면 학교의 등교 방식은 ‘하향평준화’된다”고 말했다.
학교가 최선의 방법으로 최대한의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려면 학교가 품고 있는 고민들을 교육당국이 떠안아야 한다. 학교가 감당해 왔던 책임은 교육당국이 짊어지고 학교에는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와 더불어 “학교는 문을 열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를 끌어내야 한다. “왜 학교에 가야 하느냐”는 의문에는 학교의 존재 이유를 답하고, “학교가 학습 격차를 얼마나 해소해 주느냐”는 냉소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의 교육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코로나 시대’ 교육당국의 역할이다.
sora@seoul.co.kr
2020-10-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