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리 산업부 기자
롯데가 지난 22일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본점에 이런 중국어 안내문을 내걸었다. 다음날엔 인근 세븐일레븐 등 명동 일대로 안내문을 확대했다. 롯데면세점, 마트 등에도 앞으로 같은 안내문을 붙이기로 했다. 그동안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와 관련한 중국의 반발에 대해 최대한 대응을 삼가며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해 왔던 것과는 사뭇 달라진 모습이다. ‘더이상 가만히 있다가는 중국의 반롯데 정서가 굳어질지 모른다’는 위기 의식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피해 규모는 갈수록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데도 정부는 아직 이렇다 할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이제 정부 지원만 기대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롯데그룹은 지난 5일 임원진 대책회의를 열고 정부에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이후 3주 넘게 지났지만 정부는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앵무새 같은 발언만 되풀이하고 있다.
27일 기준 중국 현지의 롯데마트 전체 점포 99곳 중 67곳이 이미 문을 닫았다. 나머지 20여곳도 현지 분위기 등에 따라 자체적으로 휴업에 들어갔다.
중국 현지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중국인 관광객이 줄면서 롯데의 면세점 매출은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전체 매출 중 중국인 관광객 매출 비중이 약 70%에 달하는 롯데면세점은 지난주(20~26일)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이미 30% 넘게 줄었다. 중국의 보복 조치가 길어지면 피해 규모가 얼마나 될지는 지금으로선 추산조차 하기 어렵다.
글로벌 기업의 해외 진출은 기업에는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지만 민간외교 차원에서도 큰 역할을 한다. 하지만 외교정책의 키플레이어는 당연히 정부이며 기업은 윤활제 역할을 해주는 소프트파워일 뿐이다.
국가 간 외교 분쟁으로 터진 여론 뒷수습을 개별 기업에 오롯이 떠맡기는 듯한 지금의 시도는 성공 여부도 불투명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과도정부’의 한계와 무기력함을 보여 주는 징표일 뿐이다. 서울시내 한복판에 내걸린 ‘중국어 호소문’을 보며 부끄러움에 얼굴이 후끈 달아오르는 이유다.
hitit@seoul.co.kr
2017-03-2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