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대학의 주인은 누구일까/명희진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대학의 주인은 누구일까/명희진 사회부 기자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6-09-27 18:00
수정 2016-09-27 18: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명희진 산업부 기자
명희진 산업부 기자
재정지원 사업을 통해 대학의 ‘주식회사화’를 꿈꿨던 이화여대는 학생들의 격렬한 저지에 발이 묶였다. 여기에 서울대 학생들도 시흥캠퍼스 건립을 두고 학교와 갑론을박을 펼치고 있다. 학생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모두 ‘주인 의식’의 발로일 것이다. ‘주인 의식’이라는 말은 참 멋지다. 하지만 주인이 아닌 사람이 주인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은 우습다. 이 때문에 내가 주인인가 아닌가를 따지는 일은 생각보다 중요하다. 우리는 모두 어딘가에 속한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일련의 사태들은 ‘대학의 주인은 학생일까’라는 오래된 질문을 떠올리게 한다. 대학의 주인은 누구일까. 국어사전에서는 ‘주인’을 대상이나 물건 따위를 소유한 사람, 집안이나 단체 따위를 책임감을 느끼고 이끌어 가는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대의 한 교수는 “4년 있다가 졸업하는 학생이 무슨 대학의 주인이냐”는 발언으로 비난을 샀다. 그런데 그건 교수도 마찬가지다. 게다가 학교 재정은 약 60~70%를 학생들이 채운다. 학교를 설립한 재단이 주인이라면서 좌지우지할 수 있는 곳이 아니란 얘기다.

대학은 학생, 교수, 재단, 사회가 모두 주인이다. 이번 사태가 학교와 학생 간의 단순한 힘 싸움으로 비치는 것이 아쉽다. 누가 주인이냐를 따지기보다 각자 주인으로서 어떤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해 왔는지 돌아보는 계기가 돼야 한다. 또 독단과 치우침이 있다면 이를 바로잡기 위한 좀더 건설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

현재 대부분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목소리가 비정상적으로 축소돼 있다. 학생 참여가 없는 총장 선출 제도가 대표적이다. 여기에 등록금, 정부 지원 사업, 학과와 교과목 구조조정에서도 학생들은 사실상 의사결정권이 없다. 한 국립대 학생은 “정부 입맛에 맞는 인사를 뽑는 총장 간선제가 과연 민주주의에 합치되는 일인지부터 따져 봐야 한다”고 말했다.

혹자는 “학생이 분명히 대학을 구성하는 핵심 주체임은 분명하나 전부는 아니며 대학의 학사 운영에 학생들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고 해서 모든 것을 독단적 운영이라 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말한다.

모두 맞는 말이다. 학생들이 모든 대학 정책에 참여하기에는 행정적인 전문성도 떨어질뿐더러 학점 관리와 취업 준비로 바빠 여력도 없다. 하지만 학생들은 대학에 잠시 머무는 ‘손님’이 아니다. 적어도 학생들의 기본적인 학습권, 교육권을 침해하는 수준의 정책이라면 학교는 학생들의 목소리를 배제해서는 안 된다. 대학 본부와 보직교수, 교직원의 존재 이유는 누구도 아닌 바로 학생이 있기 때문이다. 마땅히 학생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물론 학생들도 바뀌어야 한다. 팍팍한 현실에 지쳤다고 해서 학내 문제를 외면한다면 대학의 주인을 자임하기 어렵다. 주인 의식을 갖고 학내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학생을 배제한 독단적인 대학 운영으로 돈만 좇는 대학들. 밥그릇 싸움에 정작 본업보다 행정업무에 정력을 낭비하는 교수들. 학교 운영에서 소외되고, 코너에 몰려서야 ‘대학의 주인은 학생’이라고 주장하는 학생들. 모두가 ‘주인 의식’에 대해 다시 고민해 볼 때다.

mhj46@seoul.co.kr
2016-09-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