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민경 금융부 기자
“보험 상품이 이렇게 많다는 것과 내가 알던 그 가격, 그 상품 외에도 여러 다른 선택이 있을 수 있다는 걸 보여 주는 ‘비교의 장’을 처음 열었다는 게 중요한 겁니다.”(손해보험협회 관계자)
다양한 보험상품을 온라인으로 직접 비교·검색하고 가입까지 연결시켜 주는 ‘보험다모아’를 둘러싼 각기 다른 반응이다. 그도 그럴 것이 차 보험 하나만 놓고 봐도 개인별 특성이 반영되지 않아 사고 이력, 차량 연식 등에 따라 실제 보험료와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아서다. 출범 당일 6만여명이었던 방문자 수는 하루 평균 7000명 수준으로 떨어졌다. 업계에서는 온라인보험슈퍼마켓이라는 취지와 달리 ‘나열식 비교’에 불과하다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왔다. 설계사들은 “설 자리가 없다”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상품 비교가 허술하다는 지적이 계속 잇따르자 당국도 보완에 나섰다. 금융위원회와 협회 등은 이르면 4월 말 일부 보험에 한해 ‘개인별 실제 보험료’가 산출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노라고 업무계획을 통해 대안을 내놨다.
보장이 거의 비슷한 실손의료보험, 연금보험은 손질하기가 그나마 쉽다. 하지만 보장성보험은 다르다. 연령, 질병 등 개인별 조건에 따라 보험료가 다르다. 특히 암보험 같은 경우 예컨대 ‘췌장암’을 특약으로 포함하느냐 마느냐 등 본인 ‘희망’에 따라서도 가격이 달라진다. 이 때문에 당국은 암보험의 경우 진단자금 같은 간단한 내용만 소개하고 통원비나 담보 같은 복잡한 설명은 설계사를 통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개인별 편차가 너무 큰 탓에 온라인 사이트인 다모아가 ‘갈 수 없고 가서는 안 되는’ 영역이란 것이다.
방향은 맞다. 보험은 수익률과 투자 부문 등만 따지는 펀드가 아니다. 보장 범위, 개인별 조건, 담보 등 따져야 할 게 너무 많다. 용어도 어렵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가격이 모든 것을 지배하면 창조가 없다는 점이다. 담보가 줄고 가격 하향 평준화가 될 우려도 있다. 할 수 있는 영역에서라도 ‘최저가 상품’이 아닌 가격 대비 ‘최적의 상품’을 소비자 특성에 맞게 추천해 줄 수 있어야 한다. 가격 나열만으론 흥행이 어렵다. 보험다모아는 금융 당국이 보험 부문 ‘금융개혁’의 일환으로 야심 차게 내놓은 정책 아닌가.
물론 시간이 필요하다. 그간 당국이 총선을 의식해 금융개혁 성과를 빨리 가시화하려고 성급하게 밀어붙여 부실한 상태로 출발했다는 불만이 업계 안팎에서 적잖았다.
다모아가 제대로 정착하려면 자동차 보험, 여행자 보험 등은 쉽고 간단하고 개인별 특성에 맞춘 상품 추천이 돼야 한다. 선택과 집중이다. 소비자도 ‘만능정부’에 대한 기대감을 버려야 한다.
일반인들에게 생소할 수 있는 담보 특성에 대한 설명도 더 강화해야 한다. 정부도 시간을 주고 간섭을 줄여야 한다. 다모아가 이름처럼 고객을 다 모으려면 말이다.
white@seoul.co.kr
2016-02-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