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가로막힌 남북 민족의학의 꿈/이현정 정책뉴스부 기자

[오늘의 눈] 가로막힌 남북 민족의학의 꿈/이현정 정책뉴스부 기자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12-08 17:54
수정 2015-12-08 20: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현정 정책뉴스부 기자
이현정 정책뉴스부 기자
남한과 북한의 한의사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태평양국립의과대학의 한 진료실에서 함께 러시아 환자를 돌본다. 한 뿌리에서 출발해 다른 길을 걸어온 남한의 한의학과 북한의 고려의학이 러시아에서 분단 70년 만에 상봉했다.

앞으로 수년 내 실제로 신문 기사의 첫머리를 장식할지도 모를 ‘남·북·러 한의학 교류협력 사업’의 청사진이다. 사업을 추진 중인 김필건 대한한의사협회 회장과 슈마토프 발렌틴 보리소비치 블라디보스토크 태평양국립의과대학 총장이 그리는 미래이기도 하다. 때에 따라선 태산명동 서일필(泰山鳴動 鼠一匹)이 된 무수한 남북 협력 사업 가운데 하나로 남을 수도 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난 김 회장은 민족의학 발전의 첫발을 내딛는 이 사업이 그저 꿈으로 그칠 수 있다는 생각에 시름했다.

사업의 골자는 이렇다. 블라디보스토크 태평양국립의과대학은 한국의 한의사들이 러시아에 진출하고 자국 한의사를 길러 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북한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리를 놓았다. 태평양국립의과대학 내에 남북의 한의사들이 일할 ‘유라시아 메디컬 센터’도 마련했다. 우리 측은 이곳에 한의 진료에 필요한 기자재를 들여놓고 한의사를 파견한다. 김 회장은 “중풍 등 뇌심혈관계 환자가 많은 블라디보스토크는 한의학 수요가 꽤 높은 데다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러시아뿐만 아니라 독립국가연합(CIS) 국가로 진출할 길이 열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러시아는 중국 중의학이 러시아에 진입하는 데 보수적이어서 기회는 한국에 열려 있다.

공은 우리 정부에 있다. 대한한의사협회가 지난해 기획재정부를 설득해 확보한 예산 10억원이 지난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했으나 복지부는 예산 배정을 요청하지 않았다. 남·북·러 협력 사업에 손을 대기가 부담스럽고 대한의사협회까지 반대한다는 이유에서였다. 예산이 없어 한의사협회는 태평양국립의과대에 기자재를 들여놓지 못했고, 결국 러시아와의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명백한 계약 위반인데도 여전히 태평양국립의과대는 참을성 있게 한국의 응답을 기다리고 있다.

1년 가까이 아슬아슬하게 사업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지만, 내년에는 어찌 될지 모른다. 끝내 복지부가 외면한다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돌파구를 찾겠다는 한의사들의 바람도, 남·북·러 한의학 교류의 물꼬를 트겠다는 꿈도, 한의학 재도약의 기회를 마련하겠다는 한의사협회의 포부도, 블라디보스토크에 한의학을 유치하겠다는 슈마토프 총장의 계획도 결국엔 없었던 일이 될지 모른다. 중국은 노벨 의학상 수상자를 낼 정도로 중의학에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한의사들이 나서서 자구책을 찾고 있다. 지원은 없고 장벽은 높다.

슈마토프 총장은 남한과 북한의 한의사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함께 진료를 보는 일이 가능하겠느냐고 묻자 “그건 불가피한 일”이라고 했다. 장밋빛 미래가 아니라 필연적으로 다가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얘기다. 보건 당국에 묻고 싶다. 우리는 한 번이라도 그렇게 뜨거웠던 적이 있는가.

hjlee@seoul.co.kr
2015-12-09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