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혁신은 ICT에서만 나오는 게 아니다/김헌주 경제부 기자

[오늘의 눈] 혁신은 ICT에서만 나오는 게 아니다/김헌주 경제부 기자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5-09-16 00:06
수정 2015-09-16 09: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헌주 경제부 기자
김헌주 경제부 기자
“인터넷전문은행 사업자 1~2개 더 늘려 주는 것보다 예비인가 신청을 한두 달 더 늦춰 주면 좋겠습니다. 컨소시엄 참여를 선언했지만 아직 이사회 승인을 받지 못했거든요. 만에 하나 이사회에서 부결이라도 되면 컨소시엄 자체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인터파크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 업체 관계자의 얘기다. 지난 14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인터넷은행 시범사업자 수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현장 반응을 살피던 중에 예기치 않은 답변이 돌아왔다. 참여가 확실해 보였던 업체인데도 아직 회사 내부적으로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다른 업체도 마찬가지”라며 “각자 내부적으로 이사회 결의 절차를 거치고 있는데 어디서 돌발 사태가 발생할지 노심초사 중”이라고 전했다. 이 컨소시엄에는 인터파크뿐 아니라 SK텔레콤, IBK기업은행, NH투자증권, NHN엔터테인먼트, 웰컴저축은행 등 8~9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유독 참여 업체가 많은 인터파크 컨소시엄만의 문제는 아니다. 다음카카오, KT 컨소시엄 측 상황도 비슷하다. 최근 궤도 수정을 한 KT는 물론이고 한 발 빨리 스타트를 끊었던 다음카카오도 여전히 투자자 모집에 애를 먹고 있다. 사업 모델 발굴과 제안서 작성을 하고 있다고 하지만 컨소시엄 자체가 완벽히 구축되지 않다 보니 완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 컨소시엄 관계자는 “(임 위원장이) 시범사업자 수를 늘려 준다고 하니 다행”이라며 “상대평가가 아닌 절대평가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업모델 발굴보다는) 컨소시엄 구축에 더 힘을 쏟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금융 당국이 은행 산업에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인터넷은행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실은 관(官)의 기대와 크게 달랐다. 시범인가 신청까지 보름 남았는데도 민간의 진행 상황이 더딘 것은 사실상 두 달밖에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은 금융 당국에 1차적 책임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충분했다고 해도 사업자 간 컨소시엄 구성에는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애초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하는 것 자체가 무리수였다는 것이다.

해외에서 성공한 인터넷은행은 기존 사업자의 100% 자회사인 경우가 많다. 미국의 1위 인터넷은행 ‘찰스슈왑’, 일본 1위 ‘다이와넥스트은행’은 모기업 증권사와 함께 상품 교차 판매 등을 통해 시너지를 내며 고객 저변을 넓혀 왔다. 미국 2위 ‘앨리 뱅크’는 자동차 회사 ‘GM’의 손자 회사다. 컨소시엄도 있지만 형태는 단순하다. 일본의 소니뱅크나 지분뱅크는 가전업체 ‘소니’와 통신사 ‘KDDI’가 각각 지분 80%, 50%를 갖고 나머지 지분은 은행이 소유하는 구조다.

반면 우리나라는 다수의 사업자가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라 출범한다 해도 난항이 예상된다. 과연 다음카카오 컨소시엄의 최대주주(50%)인 한국투자금융이 다음카카오은행(가칭)의 고객을 끌어와 시너지를 낼 수 있을까. 해법은 간단하다. 정보통신기술(ICT) 업체가 아니더라도 주도권을 쥘 수 있게 해야 한다. 혁신이 ICT 업체에서만 나오리라는 법은 없기 때문이다.

dream@seoul.co.kr
2015-09-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