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소외되는 예술인/김소라 문화부 기자

[오늘의 눈] 소외되는 예술인/김소라 문화부 기자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5-08-03 00:10
수정 2015-08-03 02: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소라 산업부 기자
김소라 산업부 기자
#
지난 2일 막을 내린 제17회 서울변방연극제는 제작비의 일부를 연극인과 네티즌이 직접 마련하는 크라우드 펀딩으로 충당했다. 예술적 자율성의 확보와 독립적인 제작을 위해 정부 지원금에 의존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한 달 남짓 진행된 펀딩에는 300여명이 힘을 보태 지난달 28일 목표액인 4900만원을 돌파했다.

# 지난달에는 ‘바른음원유통협동조합’이 출범 1년을 맞았다. 음악인들에게 보다 공정한 수익을 배분하기 위해 음악인들이 직접 나서 대안적인 음원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목표다. 출범 당시에는 ‘계란으로 바위치기’라는 회의적인 시선이 적지 않았지만, 조합원이 꾸준히 늘면서 독자적인 음원 플랫폼을 구상하고 만들어 낼 동력이 생겼다.

예술인들이 스스로 나서 정부와 자본으로부터 독립하려는 최근의 사례들이다. 예술인들은 자신들이 예술의 주인이 되기 위해 ‘무모한 도전’에 나서고, 또 그 무모한 도전은 뜻을 함께하는 이들의 지지를 얻고 놀랄 만한 성과를 이뤄 내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도전이 결코 쉽지 않다는 것, 또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대안이 되기 힘들다는 엄연한 현실을 곧 마주하게 된다.

방송과 음악, 공연 등의 영역을 취재하다 보면 일종의 ‘소외 현상’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예술을 하는 당사자인 예술인들이 오히려 뒷전으로 밀려나는 현상 말이다. 연극인들은 지난 1년간 서울연극제를 둘러싸고 쓰디쓴 좌절감과 소외감을 맛봤다. 36회째 이어져 온 연극제는 올해 처음으로 정부가 운영하는 아르코예술극장 무대에 오르지 못했다.

여기에 정부의 연극 지원제도 또한 연극인들의 신뢰를 잃어 가고 있다. 지원의 공정성에 대한 연극인들의 불신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음악인들이 느끼는 회의감도 상당하다. 대기업들이 운영하는 음원 플랫폼에서 음악 한 곡이 재생돼 봤자 음악인에게 돌아가는 돈은 1원 남짓이다. 그마저도 각종 할인으로 ‘후려치기’를 하고 나면 이들의 음악은 ‘헐값’이라 하기에도 민망한 금액으로 소비된다. 인디 음악인들의 경우 음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다.

문화계를 거대 자본이 점령하면서 건강한 생태계는 사라졌다. 연극도, 음악도, 영화도 거대 자본의 힘 없이는 생존이 어려워졌다. 이런 현실에서도 척박한 토양을 꿋꿋이 일궈 나가는 예술인들이 있기에 지금의 한류, ‘K컬처’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사회·제도적 대우는 턱없이 낮다.

예술인들의 가난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자본과 유통망을 쥔 대기업과 방송 등 미디어는 ‘갑질’을 일삼기 일쑤다.

예술의 공공성을 지켜 내야 할 정부도 그 역할을 충분히 못 하고 있다. 부산국제영화제의 사례처럼 정치적 입김을 휘두른다는 논란을 낳거나, 예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채 행정적 잣대로만 접근해 파열음을 내기도 한다.

정부가 그토록 외치는 ‘문화융성’은 예술인 없이는 불가능하다. 우리 사회에는 예술인들에 대한 보다 많은 존중이 필요하다.

sora@seoul.co.kr
2015-08-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