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나욱 건축가·작가
건축가도 탐정만큼이나 흔적을 탐색한다. 건축은 곧 과거 현장을 뒤덮는 일이기 때문에 지난 흔적을 고려하는 건 후대의 어느 탐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종의 직업윤리다. 무작정 새로운 것을 짓는 시대를 지나 역사를 고려하는 게 시대정신이 되면서 이 방법은 점차 더 중요해지고 있다. 영국 건축사사무소 6a의 대표 톰 에머슨은 화재 피해를 입은 건물을 리노베이션하며 자신의 작업을 탐정의 일 같다고 묘사했다. 미술 공간 레이븐 로(Raven Row)에는 이전 건물의 불탔던 흔적이 아로새겨져 있다.
‘서울마루 공공개입 2022’ 공모에 당선돼 지난달부터 공공에 전시되는 건축사사무소 SGHS(강현석, 김건호, 이종철)의 ‘서울 대청’은 흔적에 관한 프로젝트다. 건축은 으레 무언가를 짓고 활동을 특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서울 대청’은 무언가를 특정하지 않는다. 작품 이름인 ‘대청마루’가 본디 어느 프로그램이 있기보다는 다른 대상과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건축 요소이듯 ‘서울 대청’은 그저 낮고 평평하게 설치돼 ‘서울도시건축전시관’의 낮은 높이를 다시금 강조하고 있을 따름이다.
‘서울 대청’에서 바라본 성공회성당.
SGHS 제공
SGHS 제공
이 설치물로 인해 생겨난 약간의 높이는 성당의 외부 주차장을 살짝 가린다. 사실 이 주차시설은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설계 당시만 해도 지하 주차장으로 옮겨질 것이라고 계획됐던 부분이었다. 과거의 의도가 새로운 설치물을 통해서야 비로소 달성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무언가를 덧대면 현장 보존을 망치기 일쑤인데, ‘서울 대청’은 마치 수사에 사용되는 특수 분말처럼 과거의 흔적을 더욱 잘 드러내는 것이다. 평소 건물 옥상에 올라갈 일 없는 사람들은 ‘마루니까 올라오라’고 작정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야 비로소 장소의 성질을 체감한다.
마루와 서울도시건축전시관 사이에는 정원이 조성돼 있다.
SGHS 제공
SGHS 제공
2022-10-2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