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훈 유튜브 전략컨설턴트·훈픽처스 대표, 한라대 미디어광고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유튜브에서 봤는데~” 라는 말은 우리집 초등학생 아이가 말버릇처럼 하는 말이다. 우리 아이에게 유튜브는 백과사전이자 트렌드를 알게 하는 마법상자와 같다. 특히 최근엔 슬릭백 댄스를 춘다며 온 집안을 뛰어다니고 있다.
필자의 세대는 텔레비전의 프로그램에서 정보를 얻었었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유튜브를 통해 세상을 배우고 있다. 올해 한 조사에선 전 세대의 유튜브 이용률이 89% 이상 나왔다. 많은 전세대의 이용률에도 불구하고 일부 유튜브의 가짜뉴스와 편향된 알고리즘으로 아이들은 정확하지 않은 콘텐츠로 지식을 쌓고 있다. 또한 숏폼 콘텐츠가 활성화되고, 빨리 보기를 통해 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향도 높아져 골똘히 생각하는 능력 또한 줄고 있는 느낌이다.
최근 젊은 세대들에게 큰 인기를 얻는 단어는 도파민이다. 도파민(dopamine)은 쾌락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인데, 숏폼 콘텐츠를 소비할 때 도파민이 활성화 때기 때문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도파민이 자주 활성화되면, 도파민 역치가 높아져 더욱 강한 자극을 찾게 된다. 이것은 마치 도박이나 마약 중독을 만드는 도파민의 과잉 활성화와 비슷하다. 특히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폰 세상에서 살아온, 본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스마트 폰을 손에서 떨어뜨리려고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 이슈가 되는 카페가 있다. 이 카페에 입장할 땐 소지한 핸드폰을 잠금장치에 넣어야만 입장을 할 수 있는데, 카페 안에서 핸드폰 없이 반강제적으로 책을 읽게 하는 “욕망의 북카페”라는 곳이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숏폼 콘텐츠의 인기와 함께 챗GPT와 같은 AI의 등장으로 사람들은 점점 생각하지 않으려 한다. 유튜브의 AI 알고리즘은 내가 좋아할 만한 자극적인 화면을 계속 보여준다. 몇초의 지루함도 용서하지 않고, 숏폼 콘텐츠에 빠져 스와이핑을 반복 하다 보면 시간이 훌쩍 지나가 버린다. 과거 세대가 워드프로세서의 흰 화면을 보고 글을 썼었다면, 향후엔 백지에서 깜빡이는 커서를 보면서 글을 쓰는 사람의 수가 현재보다 현저히 줄 것이다. 이미 다수의 대학에서도 생성 AI를 통한 과제 제출 때문에 오히려 이를 활용한 수업방법을 고심 중이기도 하다.
우리 아이가 사고력을 가지고 집중하면서 유튜브 시대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필자는 아이와 함께 유튜브 영상 콘텐츠를 만들어 보길 제안한다. 영상을 잘 만들려면, 원고도 잘 써야 하고 사전 조사도 충실히 해야 한다. 촬영이나 편집이 어려울 것 같다고 고민하지 말라. 쉽게 핸드폰으로 촬영하면 되며, 캡컷과 같은 AI 편집 프로그램도 있어 이젠 정말 초보자도 쉽게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미래 아이의 세대는 영상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 일상이 된다. 과거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이 중요했던 것 만큼 앞으로는 좋은 영상을 만드는 능력이 주목받을 것이다. 특히 머리를 많이 써야 하는 롱폼 콘텐츠를 아이와 함께 만들어 본다면 지겨워하지도 않고 즐겁게 제작에 참가할 것이다. 또한 부모에게 기획하는 방법이나, 인터넷 검색법, 자연스러운 글쓰기 등을 배우며, 관계도 좋아질 것이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이 너무나 빠른 시대에 살고 있다. 앞으로는 원고도 대신 써주고, 촬영도 편집도 AI가 모두 알아서 해주는 시대에 살게 된다. 하지만 좋은 결과물을 위해서라면 좋은 질문(프롬프팅)이 필요하듯이 영상을 기획하고, 주제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표현할지는 결국 인간의 창의력으로 결정해야 하는 부분이다. AI를 컨트롤 하는 능력을 아이에게 길러 주기 위해 함께 유튜브용 영상을 만들어 보기를 바란다.
이제 곧 겨울방학이 시작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