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협동조합이 희망이다/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

[기고] 협동조합이 희망이다/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입력 2019-06-25 17:14
수정 2019-06-26 01: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지난 4월 미얀마 수도 네피도의 농촌진흥연수원(AERDTC)에서 새마을금고는 미얀마 정부의 요청으로 새마을금고 모델 전수 교육을 했다. 미얀마는 1인당 국민소득이 1300달러 수준이며 국민의 20%는 빈곤층이다. 우리나라의 1960년대 중반과 비슷하다. 금융인프라도 취약해 고리 사채가 빈곤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이에 미얀마는 금융기관뿐 아니라 지역공동체 발전도 이끄는 새마을금고 모델을 주목하고 있다.

2017년 MG인재개발원 과정을 수료하고 돌아온 마을 지도자들은 양곤시 렛반 마을에 마을금고를 세워 저축 운동을 벌였다. 미얀마 정부가 2014년 한국 정부에 포용금융 전파를 요청한 뒤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함께 2016년부터 초청 연수와 현지 교육으로 씨앗을 뿌렸다.

지금은 성공적으로 자리잡은 국제협력 모델로 평가받는다. 지난 4월말 기준 총 13개 새마을금고(자산 9300만원)가 미얀마에서 운영 중이다. 빈곤층에 대한 자금 중개를 하면 마을 단위의 소득사업으로 이어져 선순환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

그동안 새마을금고는 개발도상국에 협동조합모델을 전파하는 데 힘썼다. 원조대상국 현지 조사와 초청 연수, 수출 모델의 구체화, 시범 새마을금고 운영, 개도국 지역사회 개발사업 연계와 정착 등을 통해 빈곤 퇴치와 지역사회 개발의 대안으로 협동조합을 수출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우간다에도 8개의 새마을금고가 운영되고 있고 라오스에도 준비 중이다. 특히 우간다 정부는 ‘모든 사람을 위한 번영’(Bonna Bagaggawale)이라는 지역사회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어서 좋은 모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새마을금고 같은 금융협동조합은 ‘사람이 중심’인 토종 자본이다. 납입 자본 규모에 의해 권리가 주어지는 주식회사와 달리 협동조합은 회원 모두가 1인 1표의 의사결정권을 가진다. 경영진에 대한 효과적인 견제가 가능하며 회원 전체에게 보편적 혜택이 돌아가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또 자산은 해외 유출 없이 공동체 또는 국가에 남는다. 개발도상국에 협동조합 모델이 적합한 이유다.

우리나라에서 금융협동조합은 비교적 빨리 성공적으로 자리잡았다. 개발도상국에 희망을 주는 경험이다. 우리나라의 금융협동조합이 빈곤퇴치와 지역개발을 도와줄 수 있는 멘토로 거듭날 것을 기대한다.
2019-06-26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