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 스펙, 취업. 요즘 우리의 청년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는 ‘헬조선’, ‘흙수저’, ‘열정페이’ 등 현시대를 대변하는 씁쓸한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다. 이들에게는 앞으로 더 성장하고,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이 불투명해졌다. 취업 빙하기라는 말처럼 청년 실업률은 역대 최고이고, 취업을 했다고 하더라도 결코 안심할 수 없다. 청년의 미래가 불투명한데 과연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있을까.
새로운 도약이 필요한 한국 경제에서 청년 창업이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음은 틀림없다. 많은 기성세대들도 청년들에게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돈 주고도 살 수 없는 값진 경험이다’는 등의 말로 창업에 도전하라고 조언한다. 그러나 정부와 산업계의 창업 활성화 정책과 지원이 우후죽순 쏟아지고 있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창업은 극소수에 불과한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창업은 누구나 시작할 순 있어도 누구나 성공할 수는 없다. 이에 청년 창업에 대한 정확한 진단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바다.
우선적으로 한국 사회 가치관의 다양성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창업도 도전할 만한 분야이며, 실패도 경험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전반적인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실패를 경험으로 인정하는 관용성이 선행돼야 가치의 다양성이 존중받는 사회가 가능한 것이다.
창업 교육도 조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창업에 필수적인 기업가 정신의 함양은 청소년기에 이루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현행 창업 교육은 창업 대학 지정 및 동아리 지원 사업 등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중고교 분야에서는 취약한 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유럽은 초중등 과정에서 창조성, 혁신, 비즈니스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진다. 창업 선진국 이스라엘 역시 초등학교에서부터 창의성과 창업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군복무 중에도 그 흐름이 단절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반면 우리의 현실은 상대적으로 요원한 것이 사실이며, 궁극적으로 입시 위주의 우리 교육의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창업 전문가들과 선배들의 역할과 분발도 시급하다.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창업 과정에서 사업 자문에 응해 줄 수 있는 전문가들의 도움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업계의 전문가나 창업 선배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적절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못해 문제를 겪는다는 것이다.
또한 정부 프로그램의 심사 과정에서 시장성 평가나 사업성 평가가 가능한 전문가가 소수에 이른다는 지적 역시 제기되고 있다. 창업에 따른 실질적인 생태계 구축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기업 위주 정책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어느 해외 연구에서 대한민국을 혁신적인 국가로 선정한 적이 있다. 나는 이 혁신성이라는 가치가 한국인들이 지닌 창업 DNA라고 생각한다. 이미 우리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어 우리도 인지하지 못할 때가 있지만, 우리가 가진 고유의 장점 말이다. 우리 청년들은 대한민국 건국 이래 가장 똑똑한 세대다. 우리 청년들의 잠재력을 믿어 볼 때다. 청년 창업이 우리 청년들이 지금 살고 있는 헬조선을 힐링조선으로 바꾸는 데 일조하기를 바라 본다.
송영화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한국창업학회 부회장
우선적으로 한국 사회 가치관의 다양성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창업도 도전할 만한 분야이며, 실패도 경험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전반적인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실패를 경험으로 인정하는 관용성이 선행돼야 가치의 다양성이 존중받는 사회가 가능한 것이다.
창업 교육도 조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창업에 필수적인 기업가 정신의 함양은 청소년기에 이루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현행 창업 교육은 창업 대학 지정 및 동아리 지원 사업 등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중고교 분야에서는 취약한 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유럽은 초중등 과정에서 창조성, 혁신, 비즈니스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진다. 창업 선진국 이스라엘 역시 초등학교에서부터 창의성과 창업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군복무 중에도 그 흐름이 단절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반면 우리의 현실은 상대적으로 요원한 것이 사실이며, 궁극적으로 입시 위주의 우리 교육의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창업 전문가들과 선배들의 역할과 분발도 시급하다.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창업 과정에서 사업 자문에 응해 줄 수 있는 전문가들의 도움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업계의 전문가나 창업 선배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적절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못해 문제를 겪는다는 것이다.
또한 정부 프로그램의 심사 과정에서 시장성 평가나 사업성 평가가 가능한 전문가가 소수에 이른다는 지적 역시 제기되고 있다. 창업에 따른 실질적인 생태계 구축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기업 위주 정책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어느 해외 연구에서 대한민국을 혁신적인 국가로 선정한 적이 있다. 나는 이 혁신성이라는 가치가 한국인들이 지닌 창업 DNA라고 생각한다. 이미 우리 문화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어 우리도 인지하지 못할 때가 있지만, 우리가 가진 고유의 장점 말이다. 우리 청년들은 대한민국 건국 이래 가장 똑똑한 세대다. 우리 청년들의 잠재력을 믿어 볼 때다. 청년 창업이 우리 청년들이 지금 살고 있는 헬조선을 힐링조선으로 바꾸는 데 일조하기를 바라 본다.
2016-12-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