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근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정책연구관
특이한 것은 상황을 바라보는 관점과 주장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평생교육’ 자체에는 동의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을 포함한 학교교육에서는 어렵고 부설기관이나 원격교육기관 혹은 민간 기관에서 해야 하는 대안적인 교육쯤으로 여기는 것이 ‘평생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이라는 것을 새삼 확인했다. 평생교육이야말로 자율적이고 다양해 규정지을 수 없는 것이다.
평생교육 단과대학은 대학 고유성을 기반으로 지역의 잠재적 학습 수요와 산업적 특성에 맞게 각 대학이 유연하고 창의적으로 설계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살리되 ‘선(先)취업 후(後)진학자’를 위해 학위보다는 능력 중심의 대학교육 모델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그래서 평생교육 단과대학에는 학위 과정뿐만 아니라 비학위 과정과 학점 과정이 유연하고 조화롭게 구성된다.
대학을 이용해 평생교육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즉 고령화 사회에 쏟아지는 은퇴자들의 역량 향상을 어디서 해야 하는가? 대학 4년 동안 배운 지식으로 직업 세계에서는 살아남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졸업생들의 지식 애프터서비스는 해 줄 수 없는 건가? 학위의 효용성이 사라지고 있는 시대에 교육의 결과를 능력으로 입증해 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고졸 취업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시대에 그들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대학을 이용할 수 있는 학사 서비스는 어떠해야 하는가? 사회가 요구하는 책무를 대학이 다 하도록 한 것이다.
대학은 더 많이 참여해야 한다. 명문대를 자처하는 대학은 왜 침묵하는가? 최고의 지성을 평생학습자와 공유하라. 대학은 청년 정신이 살아 있는 곳이지 청년이 다니는 곳이 아니다. 평생학습자의 선발과 교육 수준을 보장하기 위한 맞춤형 대안을 만들기 위해 지혜를 모아 보는 건 어떤가. 교육적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배척이라는 손쉬운 선택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
국민들은 정부와 대학에 더 많이 요구해야 한다. 그들이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것은 소극적이다. 학습은 권리다. 고령화시대 평생학습으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어야 한다. 재원은 국민에게서 나오는 것이다. 평생학습시대 교육은 계층의 사다리가 아닌 삶의 사다리가 돼야 한다. 새로운 삶, 새로운 세계를 만날 수 있도록 이어 주어야 한다.
대학은 미래사회 대학의 역할에 대해 각자의 답을 해야만 한다. 평생교육 전문가들은 더 크게 목소리를 내야 한다. 정부는 선제적으로 평생학습 정책을 활성화해야 한다. 선(先)취업 후(後)진학 정책은 단순히 후(後)진학자에게 대학교육 기회를 제공하자는 것이 아니다. 오랫동안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학벌 중심의 패러다임을 능력 중심으로 바꾸는 것이다. 성공적인 정책으로 남을 수 있도록 교육부와 대학의 노력을 기대해 본다.
2016-09-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