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산업수학은 미래 신성장 동력이다/이용훈 대한수학회 회장

[기고] 산업수학은 미래 신성장 동력이다/이용훈 대한수학회 회장

입력 2016-06-23 18:22
수정 2016-06-23 18: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용훈 대한수학회 회장
이용훈 대한수학회 회장
얼마 전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을 보면서 많은 국민은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변화할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기대감을 복잡하게 느꼈을 것이다. 실제로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인터넷과 센서 등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그리고 사람과 데이터가 서로 연결돼 삶의 질을 높이는 새로운 상품이 개발되고 서비스가 구현되는 대변혁의 초연결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혹자는 이런 추세대로라면 20~30년 뒤 현재 직업의 약 40% 이상이 없어질 것이며 그중 단순 사무직 및 제조업 종사자는 물론 법조계, 의료계 전문직도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그러면 우리는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2016년 세계경제포럼이 발표한 ‘미래고용보고서’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이 현재 진행 중인 가운데 수학이 산업기술에 직접 응용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수학 및 컴퓨터와 관련한 41만여개의 일자리가 새롭게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차세대 신성장 동력 개발과 기술 혁신에서 수학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수학 르네상스 시대’가 이미 개막됐다는 얘기다.

산업수학은 사회나 산업에서 제기되는 문제에 내재돼 있는 수학적 원리를 진단하고 수학적 이론과 방법으로 해결하면서 새로운 혁신을 주도하는 문제 해결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겠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빅데이터, 핀테크, 인공지능, 무인자동차, 사물인터넷 등에서 수학자들과 엔지니어, 공학자 그리고 과학자 간의 협업을 통해 신기술의 혁신을 이뤄 내고 있다.

산업수학을 활성화하기 위해 우선 선행돼야 할 일은 산업체를 직접 찾아가는 수학자의 활동이다. 일견 수학적이지 않은 것 같은 산업체의 생산 활동에서 수학적 원리를 찾아내는 일에 수학자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굴된다. 그러면 학생들과 함께 다양한 수학적 방법을 동원해 문제를 해결하며 필요에 따라 수학계의 산업수학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도 있다.

세상의 문제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태도만으로도 많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본다. 대한수학회는 이러한 새로운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미래창조과학부는 산업수학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산업수학 문제 발굴 ▲산업수학 문제 해결 ▲산업수학 인재 양성 및 산업화 등 3대 분야를 골자로 하는 ‘산업수학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산업수학의 생태계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마중물로 시기적절한 지원책이며 수학계는 이를 환영한다.

우리나라는 반세기 전 산업화 여명의 시기부터 국가 연구개발(R&D)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밤에도 연구실 불을 끄지 않았던 많은 수학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세계 11위권의 수학 연구 역량을 확보하는 쾌거를 이뤄 냈다. 이와 같은 경험이 향후 세계 산업의 변혁기에 요구되는 많은 과제를 해결하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정부와 산업체, 수학계가 함께 힘을 모아 산업수학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해 본다.
2016-06-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