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2차관
국내에 아이폰이 도입된 2009년 이후 불과 4~5년 만에 스마트폰은 국민 대다수가 아침에 일어나서부터 잠들기 전까지 늘 휴대하고 사용하는 강력한 개인 정보 기기로 자리잡았다. 업무상 문자나 메일을 주고받거나 지인들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소통을 하는 등 이제는 스마트폰 없는 생활을 상상하기 어렵다.
스마트폰이 우리 일상생활의 혁신을 가져온 것에 이견은 없지만, 한편으론 지나친 의존에 대해 걱정과 우려가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스마트폰만 쳐다보는 자녀와의 갈등으로 인해 어떤 이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을 법으로 금지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하는데, 오죽 답답하면 이런 말을 했을까 싶다.
최근 스마트폰의 바른 사용을 위한 정책간담회 자리에서 청소년들을 걱정하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접했다. 중학생 딸을 둔 학부모 한 분은 자녀가 스마트폰을 사용한 이후 엄마보다 스마트폰에 더 의존하고 미래에 대한 꿈을 잊고 사는 것 같다며 안타까워했다. 통계 수치로 보더라도 미래부가 실시한 조사에서 청소년 3명 중 1명이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것을 이번 간담회에서 다시 한번 경험했다.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이용 습관을 직접 점검해 볼 수 있는 자기 주도 노트를 활용하는 방안, 교실이나 집에서 스마트폰을 보관하는 바구니를 활용하는 방안 등 가정과 학교 현장에서 효과를 거둔 사례들이 간담회에서 공유됐다. 또한 스마트폰 구매 시 바른 사용법과 각종 도움 받을 곳을 알려주는 홍보물을 함께 나눠 주자는 구체적인 아이디어도 제시됐다.
그동안 미래부와 관계 부처가 협력해 스마트폰의 바른 사용을 위한 청소년 교육, 전문 상담,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민관 합동 ‘스마트 쉼’ 캠페인 등을 펼쳐 왔지만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청소년 정책과 미디어 전문가들은 가정과 학교에서 올바른 사용 습관을 길러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집착에서 벗어나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조용한 사색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가까이 있는 분들도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도와줘야 한다는 얘기다.
지금처럼 스마트폰이 필수 도구화된 상황에서는 스마트폰을 균형 있게 사용하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청소년들이 하루에도 수십 번씩 습관적으로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것에서 벗어나 정말로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절제의 미덕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오늘도 가정과 학교 현장에서 청소년들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계시는 학부모와 교사들께 스마트폰의 바른 사용 습관 정착을 위해 함께 협력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2015-06-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