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진건 제주대 교육학과 교수
제주도 올레길이 긍정적인 것은 철저히 지방의 작품인 데다 찾는 이들이 많다는 점이다. 제주도 토속음식인 흑돼지나 자리회마저 서울에서 먹을 수 있지만 올레길만은 제주도에서 걸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올레길은 모든 것을 중앙에 집중시킴으로써 지방을 철저히 소외시키고 있는 현실을 넘어서는 문화적 사건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올레길처럼 서울을 벗어나 지방에서 펼쳐지는 성공적인 문화, 행사가 많아져야 한다. 그래야 지방 소외의 악순환을 극복해 낼 수 있다.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은 그런 점에서 고무적인 것이다. 최근에 이런 일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양이나 질은 서울에 비할 바 못 된다. 서울을 벗어난다는 일이 말처럼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코리아문화수도조직위원회(KCOC)의 “해마다 서울을 옮깁시다”라는 구호는 상당히 매력적이다. 매년 지방의 한 도시를 문화수도로 선정해 1년간 전국의 문화·예술 관련 공연, 축제, 심포지엄 등을 집중 실시하자는 것이 KCOC의 취지다.
기존의 문화도시나 문화마을 만들기 사업이 고정된 지역에서 각자 이루어졌다면 KCOC의 사업은 1년마다 이동하면서 풍성한 문화예술행사를 지방에 집중하자는 프로젝트로 유럽에서는 이미 1985년부터 시작됐다.
유럽의 여러 국가들을 이동하면서 펼쳐지는 문화수도 운동은 1996년에는 아랍, 2000년에는 아메리카까지 확산돼 현재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유럽에서는 한 해 두 곳의 문화수도가 결정되고 있으며 2033년까지 개최 도시가 결정될 정도로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
코리아문화수도운동은 단일 국가 내에서는 최초인데, 중앙 집중적 마인드가 강한 우리나라 지방들을 상대로 이루어지는 신선하고 의미 있는 도전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KCOC는 수원, 제주, 시흥 등 3개 도시를 2016년 코리아문화수도 초대 도시로 확정했다. 이제 이들 3개 도시와 협의를 개시해 늦어도 5월 초까지 2016년 문화수도 한 곳을 최종 선정해 선포할 계획이라고 한다.
최근 3개 도시 모두 사업설명회에 전문가는 물론 일반 시민들까지 대거 참석해 대단한 열의를 보이며 문화수도 유치를 희망했다고 하는데 아직 문화수도라는 개념 자체가 제대로 각인되지 못한 현실에서 놀랍고 반가운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독특한 향토문화를 간직한 제주도야말로 2016년 제1회 코리아문화수도로서 가장 상징적인 가치가 있는 도시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과거 변방의 섬으로 유배지에 불과했던 제주도가 2016년에 수도로, 그것도 문화수도로 지정된다면 제주도는 물론 나아가 대한민국의 변화가 될 게 분명하다.
2015-04-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