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전통의 수호자 ‘문화재 복원사’/신하순 서울대 동양화과 부교수

[기고] 전통의 수호자 ‘문화재 복원사’/신하순 서울대 동양화과 부교수

입력 2015-01-06 17:48
수정 2015-01-06 17: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하순 서울대 동양화과 부교수
신하순 서울대 동양화과 부교수
지난해에는 우리나라 문화재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참 많이 오갔다. 숭례문 복원부터 석굴암, 첨성대 등 많은 문화재 보존 실태에 대한 따끔한 지적도 있었고 해외 선진국들의 문화재 복원 현황에 대한 공유가 이어지면서 전통이란 무엇인지, 문화재 복원의 지향점은 무엇인지를 고민하게 한 이슈들이 여럿 있었다.

유럽 대다수 국가의 문화재 복원 기관에서는 아이들에게 윤리와 역사, 철학 등을 함께 가르치며 ‘왜 문화재를 복원하는가’에 대해 끊임없는 고민을 던진다. 문화재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효율성과 진정성을 모두 놓치지 않도록 도와준다. 기능을 전수하고 원형 그대로 복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그 시대의 ‘문화와 정서’를 복원하고 담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전통은 박물관에 가만히 앉아 있는 박제품이 아니라 현대인들에게 유의미한 가치를 전달하며 일상 속에서 함께 숨 쉬어야 비로소 생명력을 가진다. 문화재를 통해 조상들의 사회 분위기, 생활모습 등을 체감하며 우리의 민족성을 되찾고, 문화적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전통을 학술적으로 이해하기보다 오감으로 경험하고 옛것과 새것의 조화를 이루는 일이 더욱 유의미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 문화재에 대한 우리들의 관심과 애정이 보다 절실하다.

우리나라에서 문화재 복원사가 전문 직종으로 자리 잡은 지 십 년도 채 되지 않았다. 여전히 문화재수리기술자, 문화재수리기능자 정도로 불리며 문화재 복원에 대한 시선이 올바로 정립되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미술품의 복원은 대형 건축물의 복원보다 국민들의 인식이 낮은 편이다. 그러나 미술품은 상태가 굉장히 예민하고 섬세하기 때문에 훼손되고 방치되면 작품으로서의 미적 가치가 떨어져 존재 가치마저 위협받는다. 병에 걸린 사람이 의사로부터 치료를 받듯 손상된 미술품은 문화재 복원사의 손을 거쳐 건강하게 회복된다.

이렇게 가치 있는 직업을 청소년들에게 전하고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프로그램으로 ‘문화재복원사, 전통의 수호자’를 기획했다. 전통을 계승·발전시켜 나가는 일의 가치를 전하고 그 의미를 직접 실현해 나가는 경험의 장을 열어 주고자 한 것이다. 세 기수에 걸쳐 참여한 많은 청소년들은 각자 전통 회화 유물을 한 점씩 모사하면서 그림에 담긴 이야기는 무엇인지, 눈에 보이는 것 이상의 역사·문화적 의미는 무엇인지 충분히 알고 우리의 전통과 문화재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했다. 미술 분야의 한 직업으로서 문화재 복원사의 역할, 가치에 대한 재인식과 사명감을 높였다.

진지한 자세로 옛것을 마주하는 청소년들을 보면서 문화재 복원과 전통미술에 대한 가치가 미래 세대에게 전해지기 위해서는 문화재 복원에서 최고의 전문기관과 전문가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청소년들이 문화재 복원에 대한 가치를 깨닫고 우리의 전통과 문화재에 대한 자긍심을 키우기를 바란다. 전통 미술과 현 세대를 잇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장이 마련돼 문화적 맥락을 형성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2015-01-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