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정체된 뮤지컬, 문예기금 도움 절실/윤호진 연극연출가·홍익대 교수

[기고] 정체된 뮤지컬, 문예기금 도움 절실/윤호진 연극연출가·홍익대 교수

입력 2014-12-30 17:52
수정 2014-12-30 19: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윤호진 연극연출가·홍익대 교수
윤호진 연극연출가·홍익대 교수
2015년 20주년을 맞이하는 뮤지컬 ‘명성황후’ 탄생에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기여가 컸다. 연극을 연출하던 나는 1982년 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전신인 문예진흥원의 문예기금 지원을 받아 처음으로 영국 연수를 떠날 수 있었다. 그때 대형 뮤지컬 ‘캐츠’를 접했다. 그리고 캐츠와 같은 세계적인 한국 뮤지컬을 만들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 ‘명성황후’는 그런 염원으로 1995년 만들어졌다.

‘명성황후’를 기점으로 2000년대 초반 각종 대형 라이선스 뮤지컬의 수입으로 시장 규모가 20% 이상 고속 성장했다. 통계에 따르면 한국 뮤지컬 시장의 규모가 2500억원이며, 3배 이상의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불모지나 다름없던 한국 뮤지컬 시장을 개척해 온 사람으로서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외형적으로는 뮤지컬 전성시대라고 하나 내가 보기엔 한국 뮤지컬 시장은 내부적으로는 위기에 놓여 있다. 수요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시장에 진입하는 업체가 늘어났고, 수많은 대작들이 쉴 틈 없이 경쟁하게 되면서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된 것이다. 하지만 해결책은 의외로 단순하다. 관객층을 대폭 넓히면 된다.

관객층을 넓히는 첫 번째 방법은 뮤지컬 관객층을 확대하는 것이다. 그러나 관객층 확대에는 비싼 티켓 가격이라는 장벽이 있다. 비싼 로열티를 지급하는 해외 라이선스 뮤지컬과 스타 배우의 높은 개런티는 티켓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뮤지컬 시장은 3배 이상의 잠재적 성장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성장이 둔화될 수밖에 없다.

티켓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제작비 대비 수익이 좋은 창작 뮤지컬을 중심으로 뮤지컬 산업의 체질을 개선하면 된다. 그러나 창작 뮤지컬은 상대적으로 초기 제작을 위한 재원 확보가 어렵다. 또한 관객을 공연장으로 불러들일 만큼의 경쟁력 있는 작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지속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데, 이는 민간 투자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이것이 문예기금이 존속돼야 할 첫 번째 이유다. 뮤지컬 ‘영웅’이 뮤지컬 티켓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춰 관객층을 보다 넓힐 수 있었던 것도 지원금이 있었기에 가능한 시도였다. 창작 뮤지컬의 활성화를 통해 수익이 늘어나면 그 혜택은 뮤지컬을 관람하는 관객들에게 저렴한 티켓 가격으로 환원될 것이며, 업계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관객층을 넓히는 또 다른 방법은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 수요를 늘리는 것이다. 최근 일본 시장을 겨냥해 한류 스타들을 중심으로 공연을 추진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일본·중국보다 평균 10년 이상 앞서 있는 국내 뮤지컬의 창작 능력을 고려할 때 아시아 시장 공략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뮤지컬 해외 진출을 위해서는 공감할 수 있는 현지 소재 개발을 위한 문예기금 같은 공공 지원이 필요하다.

새로운 킬러 콘텐츠를 시장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창작 인력을 길러 내는 것도 문예기금 같은 공공부문의 투자가 있어야 가능하다.

그간의 지원 사업을 통해 싹트기 시작한 우수한 창작 뮤지컬들이 문예기금의 지원으로 케이팝처럼 한국의 대표 문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2014-12-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