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몽골 돈드고비의 ‘솔롱거스’/이신철 푸른아시아 몽골지부장

[기고] 몽골 돈드고비의 ‘솔롱거스’/이신철 푸른아시아 몽골지부장

입력 2014-12-22 00:00
수정 2014-12-22 02: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신철 푸른아시아 몽골지부장
이신철 푸른아시아 몽골지부장
몽골 울란바토르는 공해 도시 세계 2위다. 요즘 같은 겨울철에는 난방용으로 석탄을 많이 쓰기 때문에 특히 공기가 좋지 않다. 이런 몽골의 환경문제는 몽골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구 전체가 책임이 있는 지구온난화의 탓이기도 하다. 몽골의 사막화 현상은 우리나라에도 황사 현상, 미세먼지 발생 등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데 중요성이 있다.

황사와 미세먼지는 겨울철에도 한반도로 몰려온다. 올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자주 반복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선 과거 황사예보만 했는데 지난해부터 미세먼지 예보까지 하고 있다. 내년 1월부터는 초미세먼지(PM 2.5)와 오존 예보도 시행된다. 몽골은 동북아시아 중심부에 위치한 대륙성 기후로 지난 60년간 세계 평균기온이 섭씨 0.7도 상승하는 동안 2.1도 상승했을 만큼 극심한 기후변화 영향으로 고통받고 있다. 몽골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1100여개의 호수와 850여개의 강이 사라졌으며 식물종 75%가 멸종했다.

이러한 몽골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한반도로 유입되는 황사를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깨끗한 한반도’를 위해 몽골에서 2009년부터 사막화 방지 사업을 펼치고 있다. 몽골에서는 나무를 심는 것보다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더욱이 겨울철 기온이 영하 40도 이하까지 내려가는 몽골의 혹독한 기후에 견딜 수 있는 나무의 종류 또한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사막화 방지를 위한 조림 사업이 오랜 세월 유목민으로 살아 온 몽골인들에게 납득하기 어려운 사업이라는 점이다. 가축들이 먹을 수 있는 풀이 부족한데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울타리 때문에 눈앞에 있는 풀을 먹일 수 없다는 점, 가축 먹이나 땔감으로 여기는 나무를 기르기 위해 사막에서 가장 귀중한 물을 쏟아붓는 조림 사업은 몽골인들에게 이상한 행위로 비쳐지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림 사업이라기보다 광산 개발 같은 기업의 영리 활동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다.

몽골 돈드고비 아이막에는 경기도 고양시가 지원해 조성한 55㏊(2014년 현재)에 이르는 ‘고양의 숲’ 조림사업장이 있다. 꾸준하게 지원한 덕분에 풀 한 포기 자라기 힘든 황량한 만달고비시 지역이 점점 푸르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묵묵히 지켜본 몽골 주민들이 이제는 “솔롱거스”(무지개를 뜻하는 몽골어로 한국을 의미함)를 연발하게 됐다.
2014-12-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