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2일 경남 창원시 두산에너빌리티에서 한국형원전 APR1400의 축소 모형을 주의깊게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자력발전 대신 신재생에너지 의존도를 높이는 방안은 당시 전 세계적 화두가 됐던 것이 사실이다. 우리 국민 여론도 안전성 걱정이 없는 에너지 자원을 개발해야 한다는 데 반대만 한 것도 아니었다. 하지만 에너지 수급 환경은 급변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주도하던 유럽이 오히려 먼저 나서 원자력 발전으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을 가속화하는 결정적 역할을 했다.
새 정부가 ‘원전 생태계 부활’을 추진하는 것은 다행스럽다. 윤석열 대통령은 엊그제 경남 창원의 원자력산업 현장을 찾아 “원전을 예산에 맞게 적시 시공하는 능력은 세계 어느 기업도 흉내 못 내는 우리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3·4호기를 지칭하면서 “발주 계약을 신속히 추진하고, 나아가 일감의 선(先) 발주가 가능하도록 과감하게 조치하라”고 지시했다.
이런 원전산업 부활 의지에 따라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원자력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상장도 준비하는 등 민간 부문의 움직임도 가시화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빠른 시간 안에 원전 생태계를 복원해 세계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수 있으려면 신속한 민관 협력 체제 구축은 필수적이다. 다만 여전히 탈원전을 지지하는 국민들이 적지 않은 만큼 정부는 탈원전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넓히는 데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2022-06-2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