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나라도 해외 공장 지을 것” 전 노조위원장의 고백

[사설] “나라도 해외 공장 지을 것” 전 노조위원장의 고백

입력 2017-10-19 22:42
수정 2017-10-19 2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대차 노조위원장을 지낸 이상범씨가 “내가 경영진이라도 해외 공장을 지을 것 같다”며 현대차 노조에 쓴소리를 했다. 그는 “‘회사가 망해 봐야 정신 차린다’고 하는 말을 충고로 받아들이라”고도 했다. 그는 현대차 노조 창립을 주도하고 제2대 노조위원장으로 21일간 파업 등을 주도한 강경파였다. 그런 그가 올해 말 퇴임을 앞두고 후배들에게 뼈아픈 충고를 한 것은 위기의식에서다.

그가 최근 현대차 노조 게시판 등에 올린 2015년 중국, 러시아, 독일 등 해외 자동차 공장을 방문하면서 느낀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노조 스스로 변하지 않으면 퇴출된다”는 것이다. 일례로 그가 본 현대차 러시아와 중국의 공장은 국내와 비교하면 말도 안 되게 적은 임금을 받지만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생산 실적을 보고 너무 놀라 몇 번이고 수치를 확인했다고 한다. 생산라인 속도와 유연성 있는 인력 배치 결과였다. “원가, 생산성, 품질, 수출 등 해외 공장이 비교 우위에 있으니 어느 경영자가 국내에 더 공장을 지으려고 하겠느냐”는 것이 그의 솔직한 토로다.

직무 난이도에 따른 차등 임금 등 인사평가제도 역시 독일의 금속노조가 노사 합의로 시행하는 것에 충격받았다. 동료조차 함께 일하기 꺼리는 저성과자들에게도 급여에서 어떤 차등도 둘 수 없는 현대차와 확연히 비교됐기 때문이다. 노동생산성은 도요타나 폭스바겐에 비해 낮은데도 현대차 1인당 평균 인건비는 이 회사들보다 많은 1억여원에 이른다. 우리 근로자 평균 연봉 3%에 드니 ‘귀족노조’라는 말이 결코 헛말이 아니다. 이씨가 노조원들이 성과급으로 한 해 1800만~2000만원 받는데 퇴직 후 현대차 성과급만큼의 연봉을 받을 수 있는 재취업 자리를 구할 수 없는 현실을 직시하라고 한 것도 그래서다.

지금 현대차는 안팎으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내수 부진에 미국과 중국 시장 등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노사가 함께 품질력 향상 등으로 위기 극복에 나서도 어려운 상황인데 노조의 행보를 보면 회사가 어찌 되든 상관없이 내 몫만 챙기려는 투쟁 일변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현대차는 물론 자동차산업이 조선업처럼 파국을 맞이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오죽하면 노조 선배가 이런 처절한 반성문을 썼겠는가. 회사의 위기를 보고도 외면하는 것은 결국 자기 무덤을 파는 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2017-10-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