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급할수록 기업과 달라야 하는 대학 구조조정

[사설] 급할수록 기업과 달라야 하는 대학 구조조정

입력 2015-12-27 17:46
수정 2015-12-28 0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대학들이 대규모 구조조정에 심각한 내부 갈등을 겪고 있다. 정부가 구조조정을 잘한 대학에 연간 최대 3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당근책을 내놓자 각축을 벌이는 양상이다. 교육부의 대학 구조조정 유도정책은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 사업’이다. 대학 전반의 학사 조직과 정원을 산업 수요에 맞게 구조조정한 대학을 평가해 적극 지원하겠다는 내용이다. 최고점을 받은 대학은 300억원, 8개 대학은 150억원씩 내년부터 3년간 지원받는다. 대학들로서는 소매를 걷어붙일 수밖에 없다.

프라임 사업의 핵심은 이공계 강화다. 이공계 학과 위주로 입학 정원을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다. 그 과정에서 인문계 학과의 축소와 통폐합은 불가피하다. 융·복합 학과를 신설하는 대신 문과대 학과를 축소·폐지하는 것 말고는 뾰족한 길이 없다. 교육부는 사업 계획서 제출 시한을 내년 2월로 통보했다. 충분한 내부 논의조차 없이 몰아치니 대학마다 내홍은 더 커지는 것이다.

교육부의 이공계 육성 지원책은 다양하게 진행돼 왔다. 대학 특성화 사업, 산학협력 사업 등으로 학과 통폐합을 이끌었다. 대학과 산업 간 인력 수급의 불균형이 심각한 것은 사실이다. 최근 정부 자료에 따르면 앞으로 10년간 공학계열 인력은 21만명 넘게 부족할 전망이다. 가중될 취업난을 고려하자면 인력 수요에 대비하지 못하는 학사 운영은 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렇더라도 돈주머니를 열어 보이며 체질 개선을 몰아붙여서는 부작용의 우려가 적잖다. 취업이 잘되는 학과는 대접받고 안 그래도 홀대받는 인문계열 학과가 고사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아무리 사정이 급해도 대학을 취업 사관학교로 만들 수는 없다. 프라임 사업과 함께 교육부가 제시한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이 달갑지만은 않은 것도 그래서다. 인문학의 위상을 살리되 사회 요구를 반영한 인문학 모델을 만든 대학들에 내년부터 3년간 연간 6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한다. 돈 되는 인문학에만 지원하겠다는 또 다른 인문학 고사 정책이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교육은 백년지계(百年之計)다. 대학 교육이라면 더 말할 것도 없다. 인문학은 인간의 본성과 가치를 탐구하는 기초 중의 기초학문이다. 세계적 기업들이 신규 인력들에 인문학적 소양을 더 많이 요구하는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인문학의 기름진 토양에서 기술 신화도 싹틀 수 있다는 진리를 새기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의 구조조정이 기업과 달라야 하는 절대적인 이유다.
2015-12-28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의대 증원 논쟁 당신의 생각은? 
의료공백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의정 갈등 중재안으로 정부에 2026년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의사 증원을 하지 말자는 얘기와 같다. 현실성이 없는 주장”이라며 거부 의사를 명확히 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당장 2025년 의대 증원부터 유예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예정대로 매년 증원해야 한다
2025년부터 증원을 유예해야 한다
2026년부터 증원을 유예해야 한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