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의 고유업종인 ‘동네빵집’이 사라지고 있다. 대기업과 일부 재벌가의 딸들이 제과점과 커피숍 등에 진출하면서 개인사업자가 운영하는 독립 제과점, 이른바 동네빵집이 퇴출당하고 있는 것이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자영업자 제과점이 지난 2003년 초 약 1만 8000곳에서 점차 폐업이 늘어나 지난해 말 4000여곳으로 급감했다. 전통적으로 빵집은 초기 투자비용이 적게 드는 데다 고급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 실직자, 퇴직자들이 생계형 창업으로 많이 선택한다. 이런 동네빵집 9곳 중 7곳이 최근 8년 새 문을 닫았다. 생계형 동네빵집이 급감했다는 것은 자영업자들의 삶의 터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는 얘기다. 남아 있는 동네빵집도 언제 문을 닫을지 모르는 위기감에 떨고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절실하고 시급하다.
국내 제빵시장 규모는 연간 2조원 정도라고 한다. 현재 대기업 두 곳이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두 대기업의 전국 점포 수만 5417곳이나 된다니 얼마나 많은 동네빵집이 문을 닫아야만 했는지 짐작이 간다. 여기에 삼성·신세계·롯데·현대차그룹 등 내로라하는 재벌가의 딸과 외손녀들까지 뛰어들면서 제빵시장은 이제 공룡들의 각축장으로 변해 가고 있다.
이래저래 작은 규모이지만 손맛 하나로 이웃의 사랑을 받던 동네빵집의 설 자리는 점차 줄어들 수밖에 없게 됐다. 그럼에도 대기업은 이제 빵집도 모자라 라면·떡볶이·순대 등 이른바 ‘길거리 음식’사업에까지 손을 뻗치고 있다. 막대한 자본과 우월한 유통망을 업고 서민들의 생계수단을 접수하고 있는 셈이다. 그동안 귀가 따갑도록 듣고, 대기업들 스스로 다짐하기도 했던 동반성장이나 상생의 구호가 무색하기만 하다. 규제를 풀어 주니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는커녕 골목상권이나 점령하고 있다는 탄식이 절절하게만 들린다. 대기업이라면 설사 시장 진입에 규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자영업자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일만은 스스로 삼가야 한다. 대기업들이 게걸스러운 자본의 논리만을 고집한다면 감당키 어려운 사회적 역풍을 부를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정부도 적절한 규제로 대기업들의 탐욕적인 일탈을 적극적으로 막아야 한다.
국내 제빵시장 규모는 연간 2조원 정도라고 한다. 현재 대기업 두 곳이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두 대기업의 전국 점포 수만 5417곳이나 된다니 얼마나 많은 동네빵집이 문을 닫아야만 했는지 짐작이 간다. 여기에 삼성·신세계·롯데·현대차그룹 등 내로라하는 재벌가의 딸과 외손녀들까지 뛰어들면서 제빵시장은 이제 공룡들의 각축장으로 변해 가고 있다.
이래저래 작은 규모이지만 손맛 하나로 이웃의 사랑을 받던 동네빵집의 설 자리는 점차 줄어들 수밖에 없게 됐다. 그럼에도 대기업은 이제 빵집도 모자라 라면·떡볶이·순대 등 이른바 ‘길거리 음식’사업에까지 손을 뻗치고 있다. 막대한 자본과 우월한 유통망을 업고 서민들의 생계수단을 접수하고 있는 셈이다. 그동안 귀가 따갑도록 듣고, 대기업들 스스로 다짐하기도 했던 동반성장이나 상생의 구호가 무색하기만 하다. 규제를 풀어 주니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는커녕 골목상권이나 점령하고 있다는 탄식이 절절하게만 들린다. 대기업이라면 설사 시장 진입에 규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자영업자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일만은 스스로 삼가야 한다. 대기업들이 게걸스러운 자본의 논리만을 고집한다면 감당키 어려운 사회적 역풍을 부를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정부도 적절한 규제로 대기업들의 탐욕적인 일탈을 적극적으로 막아야 한다.
2012-01-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