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후진타오에게 천안함 인식 분명히 시켜라

<사설>후진타오에게 천안함 인식 분명히 시켜라

입력 2010-04-30 00:00
업데이트 2010-04-30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일 개막하는 상하이 엑스포에 앞서 오늘 이명박 대통령이 후진타오 국가주석과 만난다. 중국이 엑스포를 통해 세계적 도약의 계기를 맞은 것은 축하할 일이지만, 이에 상응해 국제적 책임을 다한다는 차원에서 천안함 사태의 진실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두 정상이 한반도의 안정과 동북아 평화를 해치는 여하한 도발에도 엄중히 대처한다는 인식을 공유하기 바란다.

아직 물증은 없지만, 유감스럽게도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정황은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함수와 함미가 인양된 후 내부 폭발설이나 암초 충돌설 및 선박의 피로파괴설 등이 모두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지면서다. 문제는 천안함을 공격한 북한의 어뢰 파편을 찾아낸다 하더라도 대응방안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북한의 도발 직후 부글부글 끓던 여론도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고, 정부의 대응도 흐지부지되고 마는 게 지금까지의 패턴이었다. 북한에 비해 잃을 게 많은 우리로선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었다. 이번 천안함 사태 대응 과정에서 그런 타성을 깨려면 국제적 공조는 우리가 선택 가능한 최소한의 옵션이다. 한·중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구체화 방안을 논의하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천안함 문제를 반드시 짚어야 할 이유다. 물론 중국 지도부가 자국의 경제도약에 전력투구하는 마당에 천안함 사태 대응에 관여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을 것이란 추론도 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더욱 단호해야 한다고 본다. 차제에 중국 측에 북한의 소행임이 드러나면 우리 정부의 직접 대응을 포함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임을 천명해 둬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지 않고는 한반도의 안정이 깨지는 것을 바라지 않는 중국이 북한의 도발에 제동을 걸려 하겠는가. 더욱이 중국의 국내외 물동량의 상당부분이 통과하는 곳이 서해다. 그런 서해를 테러무대로 방치한다면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발돋움 중인 중국의 장기적 국익에 해가 됨을 인식시켜야 한다.

아울러 만일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소행으로 확인된다면 중국이 유엔안보리 회부 등 국제사회 차원의 대응에 동참토록 미리 설득해 둬야 한다. 이를 위해선 확고한 물증을 찾는 게 급선무다. 정부는 진상규명 과정에서도 중국을 참여시키는 등 사전 정지작업에도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
2010-04-30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