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시메옹 샤르댕, ‘차를 마시는 부인’, 1735년
(81×99㎝, 헌터리언 박물관·미술관, 영국 글래스고)
(81×99㎝, 헌터리언 박물관·미술관, 영국 글래스고)
유럽인들이 차맛을 알게 된 시기는 17세기다. 프랑스에는 1636년, 영국에는 그보다 20년쯤 늦게 차가 알려졌다. 사람들은 처음에 이 낯선 음료를 약으로 여겼다. 루이 14세는 통풍과 심장병에 좋다고 생각해 차를 마셨다. 재상 마자랭도 통풍 때문에 차를 마시기 시작했다가 열렬한 차 애호가가 됐다. 누구나 차를 좋아한 건 아니었다. 루이 14세의 제수였던 독일 공주는 차에서 ‘건초와 썩은 짚’ 맛이 난다고 불평하면서 친정에서 먹던 따뜻한 맥주 수프를 그리워했다. 한 귀족 부인은 차의 떫은맛을 줄이기 위해 우유를 타는 방법을 고안했다. 영국인들도 이 방법을 환영했다. 우리의 ‘부먹찍먹’ 논쟁처럼 영국 사람들은 차에 우유를 붓느냐, 우유에 차를 붓느냐를 놓고 열을 올린다. 옛날에는 고급 도자기 잔에 뜨거운 액체를 갑자기 부으면 깨질 수 있어서 우유를 먼저 넣고 찻물을 부었다. 튼튼한 머그잔이 있는 요즘은 자기 마음이다.
이미혜 미술평론가
장 시메옹 샤르댕은 1730년대부터 풍속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17세기 프랑스 사람들은 이웃 나라 네덜란드에 처음 등장한 풍속화를 보고 저질스럽다고 비웃었다. 18세기가 되자 분위기가 바뀌었다. 부유한 중산층이 예술 수요에 가담했고 귀족들도 이전 시대보다 개인적이고 쾌락적인 예술을 선호하게 됐다. 왕에서부터 중산층 재산가에 이르기까지 우아함과 고요함이 감도는 샤르댕의 풍속화를 좋아했다.
2023-05-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