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우아한 소박함/미술평론가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우아한 소박함/미술평론가

입력 2023-05-03 00:12
수정 2023-05-03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장 시메옹 샤르댕, ‘차를 마시는 부인’, 1735년 (81×99㎝, 헌터리언 박물관·미술관, 영국 글래스고)
장 시메옹 샤르댕, ‘차를 마시는 부인’, 1735년
(81×99㎝, 헌터리언 박물관·미술관, 영국 글래스고)
영국인들의 차(茶)에 대한 사랑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재앙이었다. 1830년 영국은 중국에서 몰래 가져온 차의 종자를 식민지 인도 남부에 옮겨 심는 데 성공했다. 차 플랜테이션은 이 지역 환경을 파괴했고 주민들은 여러 세대에 걸쳐 중노동과 가난에 시달렸다.

유럽인들이 차맛을 알게 된 시기는 17세기다. 프랑스에는 1636년, 영국에는 그보다 20년쯤 늦게 차가 알려졌다. 사람들은 처음에 이 낯선 음료를 약으로 여겼다. 루이 14세는 통풍과 심장병에 좋다고 생각해 차를 마셨다. 재상 마자랭도 통풍 때문에 차를 마시기 시작했다가 열렬한 차 애호가가 됐다. 누구나 차를 좋아한 건 아니었다. 루이 14세의 제수였던 독일 공주는 차에서 ‘건초와 썩은 짚’ 맛이 난다고 불평하면서 친정에서 먹던 따뜻한 맥주 수프를 그리워했다. 한 귀족 부인은 차의 떫은맛을 줄이기 위해 우유를 타는 방법을 고안했다. 영국인들도 이 방법을 환영했다. 우리의 ‘부먹찍먹’ 논쟁처럼 영국 사람들은 차에 우유를 붓느냐, 우유에 차를 붓느냐를 놓고 열을 올린다. 옛날에는 고급 도자기 잔에 뜨거운 액체를 갑자기 부으면 깨질 수 있어서 우유를 먼저 넣고 찻물을 부었다. 튼튼한 머그잔이 있는 요즘은 자기 마음이다.
이미지 확대
이미혜 미술평론가
이미혜 미술평론가
줄무늬 드레스를 입고 푸른색 안감이 달린 검정 숄을 두른 부인이 홀로 차를 마시고 있다. 알랭 드 보통은 이 그림에 나타난 가구와 그릇이 벼룩시장에서 건진 물건 같다고 책에 썼지만, 18세기에 이처럼 옻칠된 중국 탁자 앞에서 도자기 찻잔으로 귀한 음료인 차를 마실 수 있는 사람은 흔치 않았다. 잔에서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르고 차를 우려내는 부인의 표정은 고요하다. 일상생활의 장면이지만 선택받은 소수들의 것이다.

장 시메옹 샤르댕은 1730년대부터 풍속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17세기 프랑스 사람들은 이웃 나라 네덜란드에 처음 등장한 풍속화를 보고 저질스럽다고 비웃었다. 18세기가 되자 분위기가 바뀌었다. 부유한 중산층이 예술 수요에 가담했고 귀족들도 이전 시대보다 개인적이고 쾌락적인 예술을 선호하게 됐다. 왕에서부터 중산층 재산가에 이르기까지 우아함과 고요함이 감도는 샤르댕의 풍속화를 좋아했다.
2023-05-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