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주 쇠라, ‘아니에르에서 멱감기’, 1884년
(201×300㎝, 내셔널 갤러리, 영국 런던)
(201×300㎝, 내셔널 갤러리, 영국 런던)
이 무렵 급속한 산업 발전은 센강 유역의 지형을 바꿔 놓고 있었다. 인근에 공장이 들어서면서 아니에르의 인구는 10년 사이 두 배가 됐다. 원경에 철교와 공장 굴뚝이 보인다. 이 사람들은 노동자나 하급 사무원일 것이다. 아니에르가 산업 지역이 되면서 중산층은 좀더 쾌적한 곳으로 이동했다. 강 건너편 그랑자트섬에는 그래도 부르주아적 분위기가 약간 남아 있다. 오른쪽 멀리 보이는 수풀과 강둑이 그랑자트섬이다. 톱해트를 쓴 신사와 양산을 쓴 숙녀가 탄 배, 흰 요트, 조정 연습을 하는 사람이 보인다. 이쪽 강둑에 있는 사람들은 멀거니 물을 바라보거나 물에 몸을 적실 뿐이다. 이쪽 강둑과 저쪽 섬의 거리만큼 중산층과 노동자 계층 간에 사회적 거리가 존재한다.
쇠라는 자신의 그림에서 계급적 차별을 읽어 내기를 바라지는 않았을 것이다. 볼러와 밀짚 모자 같은 표지가 있긴 하지만 직업적 흔적은 지워져 있다. 휴식 장면과 어울리지 않는 원경은 바랜 듯 아슴푸레하게 처리돼 전경을 간섭하지 못한다.
쇠라는 철저한 준비를 거쳐 이 그림을 그렸다. 모델을 보고 각각의 인물을 그렸고, 현장에서 여러 차례 작은 유화들을 그렸다. 완성작은 준비 작업을 참고하고 결합해 작업실에서 그렸다. 1884년 살롱 심사위원들은 이 그림을 되다만 인상주의라고 생각해 낙선시켰다. 쇠라는 ‘그랑자트섬의 일요일 오후’로 1886년 마지막 인상주의 전시회에 참가했지만 인정을 받지 못한 채 1891년 서른한 살로 생을 마감했다.
20세기 미술비평가들은 신인상주의의 시조로 쇠라의 이름을 미술사에 올렸다. 쇠라는 빛을 다루는 새로운 방식을 고안했으나 번잡한 거리 모습과 시시각각 변하는 인상에 매달렸던 인상주의의 현장성을 저버렸다. 사생을 포기하고 작업실에서 실험하듯 빛을 다루는 순간 고전주의와 형식주의가 되돌아온다. 영원의 한 조각처럼 정지된 아름다움이 이 그림에 떠돈다.
미술평론가
2019-07-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