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진건 유배의 뒤안길] 누에의 변

[양진건 유배의 뒤안길] 누에의 변

입력 2016-01-05 23:10
수정 2016-01-06 0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양진건 제주대 교수
양진건 제주대 교수
누에가 관심을 끌고 있다. 대통령이 “누에가 나비가 돼 힘차게 날기 위해서는 누에고치라는 두꺼운 외투를 힘들게 뚫고 나와야 하듯이 열심히 노력하면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것도 이룰 수 있다”고 했기 때문이다. 급기야 “노력하면 누에가 나비도 될 수 있다”는 말까지 나도는 실정이다.

그러나 누에는 자기를 고치 속에 갇히게 해서 명주실을 만든다. 땅은 뽕나무를 키우고, 뽕나무는 누에를 키우고, 누에는 거문고 소리를 키운다는 말이 있다. 거문고 줄을 만들려면 2만여개의 누에고치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거문고를 ‘신의 악기’라고도 한다. 그래서 강진 유배 시절 다산 정약용은 누에치기를 귀하게 여겼다.

명주실을 만들기 위해 고치에 갇히듯 스스로 ‘갇힘’을 자청하는 자발적 유배인들도 있다. 빅토르 위고는 “잉크 한 병과 목부터 발까지 몸을 감싸 줄 두꺼운 회색 털옷을 한 벌 샀고, 외출하고 싶은 유혹을 느끼지 않으려고 옷들을 자물쇠로 채웠으며, 마치 감옥 속에서처럼 소설에 몰입했다. 그때부터 식사와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책상을 떠나지 않았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위대한 ‘파리의 노트르담’은 완성됐다.

27년을 갇혀 지냈던 현대의 대표적인 유배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넬슨 만델라도 예외가 아니다. 말이 27년이지 그 시간을 감히 누가 헤아릴 수 있겠는가. 그런 그가 20세기 최악의 악마였던 흑백 인종분리 정책을 물리치고 끝내 화해와 용서의 상징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유배지 로벤섬에서 키운 내공 덕분이었다. 그 내공으로, 홀로 갇혀 있으면서 갇혀 있지 않은 많은 사람들을 부끄럽게 했고, 어떤 최악의 갈등과 대립도 대화로 풀어 갈 수 있다는 전범을 제시함으로써 세상을 바꾸었다.

이렇게 갇혀 있으면서도 각고의 노력을 한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것이 진정한 가치를 발휘한 경우는 명주실이 의복혁명을 가져왔고 또한 만델라가 그러했듯이 사회적인 노력과 파급이 병행될 때였다. 위고가 말년에 왕정 쿠데타 기도에 대항하는 피 흘리지 않는 혁명을 목표로 정치적 참여를 했던 것도 마찬가지였다.

요즘 젊은이들도 갇혀 있긴 하지만 그들은 미래를 포기했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들은 알바에, 비정규직에, 고시원에 갇혀 있으면서 스스로를 쓸모없이 남아도는 잉여인생이라고 자조한다. 그들은 사회·경제적 배경이 개인의 노력보다 더 중요해진 우리 사회의 불평등에 좌절하고, 그 때문에 3포, 5포라고 포기하면서 부모보다 못사는 최초의 세대가 될 거라는 경고까지 받고 있다. 그들이야말로 자기 땅에서 유배된 자들이다.

이 같은 퇴행적인 현실에서 “열심히 노력하면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것도 이룰 수 있다”는 말은 그들에겐 공허하게만 들릴 뿐이다. 무엇보다 정치가 환골탈태해야 한다. 다산 정약용은 “세계가 누에치기용 채반인 잠박”(世界皆箔也)이라 했다. 바로 잠박을 크게 해 줘야 한다. 그래서 젊은이들이 몸과 마음을 바쳐 명주실을 뽑고, 귀한 비단을 짜낼 수 있는 환경을 과감하게 만들어 줘야 한다. 그러면 다그치지 않아도 그들은 노력할 것이다. 그러다 보면 누에가 과연 나비가 될지 누가 알겠는가.

그들이 갇혀 있기만 한 채 실을 켤 수 없는 ‘죽은 고치’가 되는 날 그들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죽는 날이다. 그것이야말로 바로 헬조선일 것이다.

제주대 교수
2016-01-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