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뚜기’와 ‘뻐꾸기’. 비슷한 형태의 두 낱말 중 하나는 맞고 하나는 틀리다. ‘오뚜기’는 ‘오뚝이’가 바른 표기다. 그렇다면 왜 ‘뻐꾸기’는 ‘뻐꾹이’처럼 쓰지 않는 걸까.
우리말 맞춤법에는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원형을 밝혀 적고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원형을 밝혀 적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고 돼 있다.
‘오뚝이’는 ‘오뚝하다’라는 형용사의 어근 ‘오뚝’에 명사형 접미사 ‘-이’를 결합한 것이다. 같은 형태로는 ‘홀쭉이’, ‘꿀꿀이’, ‘삐죽이’, ‘살살이’ 등이 있다. 모두 어근에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있다.
‘뻐꾸기’의 경우 우리말에 ‘뻐꾹하다’라는 형용사나 동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뻐꾹이’로 적지 않는다. 비슷한 형태로 ‘얼루기’, ‘꾀꼬리’, ‘딱따구리’, ‘개구리’, ‘귀뚜라미’, ‘기러기’ 등이 있다.
‘얽히고설키다’란 동사에서도 비슷한 형태를 볼 수 있다. ‘얽히다’란 동사의 어간을 밝혀 적은 ‘얽히고’와 달리 어원을 알 수 없는 ‘설키다’는 소리 나는 대로 적었다. ‘늘그막’, ‘빈털터리’, ‘도떼기시장’, ‘뒤치다꺼리’ 등도 어간의 본뜻과 멀어져 원형을 밝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이처럼 우리말은 어원이 확실한 경우는 어원을 밝혀서 적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우리말 맞춤법에는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원형을 밝혀 적고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원형을 밝혀 적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고 돼 있다.
‘오뚝이’는 ‘오뚝하다’라는 형용사의 어근 ‘오뚝’에 명사형 접미사 ‘-이’를 결합한 것이다. 같은 형태로는 ‘홀쭉이’, ‘꿀꿀이’, ‘삐죽이’, ‘살살이’ 등이 있다. 모두 어근에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있다.
‘뻐꾸기’의 경우 우리말에 ‘뻐꾹하다’라는 형용사나 동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뻐꾹이’로 적지 않는다. 비슷한 형태로 ‘얼루기’, ‘꾀꼬리’, ‘딱따구리’, ‘개구리’, ‘귀뚜라미’, ‘기러기’ 등이 있다.
‘얽히고설키다’란 동사에서도 비슷한 형태를 볼 수 있다. ‘얽히다’란 동사의 어간을 밝혀 적은 ‘얽히고’와 달리 어원을 알 수 없는 ‘설키다’는 소리 나는 대로 적었다. ‘늘그막’, ‘빈털터리’, ‘도떼기시장’, ‘뒤치다꺼리’ 등도 어간의 본뜻과 멀어져 원형을 밝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이처럼 우리말은 어원이 확실한 경우는 어원을 밝혀서 적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2020-02-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