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준 시간여행] 벽보 계몽시대

[이호준 시간여행] 벽보 계몽시대

입력 2019-02-26 17:28
수정 2019-02-27 03: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어느 달동네의 조금 후미진 골목일 수도 있고, 해풍에 바래 가는 바닷가 마을을 걷던 중일 수도 있다. 느닷없이 시야가 환해질 때가 있다. 꽃이 활짝 피고 동물들이 뛰어 놀고 전설이 살아 숨 쉬는 풍경이 눈앞으로 다가선다. 벽화라 부르는 담벼락 그림과 만나는 순간이다. 그렇게 만난 벽화는 가끔 기억 깊숙이 묻어 뒀던 풍경을 소환한다. 흑백영화라도 보는 듯 아련한 풍경들이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담벼락마다 표어나 포스터가 붙어 있었다. 소위 벽보였다. 상업적 광고도 없지 않았지만 대개 정부나 관공서의 이름으로 나붙은 ‘공공 홍보용’이었다. 눈만 들면 반공방첩이었고 고개만 돌리면 불조심이었다. 그럴 수밖에 없는 시대였다.

정책 전달이나 국민 계몽을 위한 수단이 극히 부족했기 때문이다. 모든 집에 라디오가 있었던 것도 아니었고, TV는 더욱 드물었다. 그렇다 보니 표어와 포스터가 중요한 전달 수단이었다. 계몽용 벽보 중 세월따라 상황이 크게 바뀐 것은 가족계획 홍보였다. 1970년대에는 어디를 가도 ‘딸 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는 구호가 붙어 있었다. 아이를 많이 낳는 것이 반사회적 행위라도 되는 듯 눈총을 받던 시절이었다.

그러던 게 1980년대 들어서는 ‘둘도 많다’, ‘축복 속에 자녀 하나 사랑으로 튼튼하게’라는 등의 구호로 바뀌었다. 낮은 출산율이 나라의 근심이 되고, 육아 지원을 선거 공약으로 내세우는 세상이 올 줄은 상상도 못 하던 시절이었다.

쥐잡기 포스터도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주인공이었다. 쥐잡기의 날을 정해서 전국적으로 소탕작전을 벌이던 시절이었다. 그만큼 쥐를 잡는 게 국가적 과제였다. 또 하나의 단골 메뉴는 혼식이었다. 혼식과 분식의 날을 정해 놓고 학교에서 도시락을 검사하던 시절이었으니, 벽보로 홍보하는 건 당연한 일이었다. 대표적 문구가 ‘혼식으로 부강 찾고 분식으로 건강 찾자’였다.

먹고사는 문제 이상으로 중요했던 국가적 과제는 반공방첩이었다. ‘간첩 신고는 113’과 같은 벽보는 없으면 허전했던 담벼락 고정 메뉴였다. 반공방첩에 관련된 표어·포스터는 일일이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많았다. 정권 유지 수단으로 등장했던 10월 유신이 슬며시 끼어들기도 했다. ‘유신으로 굳게 뭉쳐 북괴도발 분쇄하자’와 같은 표어였다.

선거와 투표도 단골 소재였다. 선거 때마다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벽보가 나붙었다. ‘내 한 표 바로 던져 평화통일 앞당기자’, ‘내가 찍은 바른 한 표 이 나라 기둥 된다’ 등의 문구가 방방곡곡의 담벼락을 장식했다.

누가 뭐래도 포스터의 왕자는 불조심이었다. 지금도 빨간 불꽃이 날름거리는 불조심 포스터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늘 따라다니는 문구가 ‘자나 깨나 불조심 꺼진 불도 다시 보자’였다.

시대 상황에 따라 나타났다가 사라진 표어·포스터도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인분을 준 채소를 먹으면 회충·12지장충에 걸린다’는 표어는 언제부턴가 필요가 없어졌다. ‘미신을 타파하고 과학생활 이룩하자’는 문구 역시 실감 나지 않는 시대가 된 지 오래다.

지금도 벽보가 없는 것은 아니다. 행사와 공연 등을 홍보하는 벽보는 여전히 유용한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 또 선거나 계몽, 정당 등의 홍보를 위한 현수막도 드물지 않게 거리에 나붙는다. 하지만 벽보의 입지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건 사실이다. 그만큼 홍보 수단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한 시대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아이콘 벽보.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그 시대의 정치, 사회는 물론 서민들의 서걱거리던 삶이 차례대로 걸어 나올 것 같다.
2019-02-27 3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