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최근 유가가 다소 회복되며 경제 사정이 일부 개선됐지만, 미국의 셰일가스가 본격화된 이후 과거와 같이 고유가를 통한 산유국의 우월적 지위를 누리기 어렵다는 근본적인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석유 등 자연자원에 의존하는 경제로서의 취약성은 커져 있다. 물론 러시아 정부는 대규모 정부 지출 확대를 통해 경제의 어려움을 타개하려 하고 있으나, 이를 통해 상황을 반등시킬 수 있을지 미지수다.
1998년은 루블화 강세와 재정적자로 러시아 경제에 대한 대외 신뢰가 약화된 상태에서 루블화에 대한 국제적인 투기 공격이 가세하면서 루블화 가치가 폭락하고 러시아 정부는 대외 부채에 대한 지급유예를 의미하는 ‘모라토리엄’을 선언했던 해다. 즉 러시아가 사실상 국가 부도 사태에 직면한 해였다. 결과적으로 러시아의 경제성장률은 1998년 -5.3%에 이르고 물가상승률은 27%(1998년), 85%(1999년)로 솟구쳤다.
그런데 최근 미국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면서 경기 과열을 우려하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자 러시아를 비롯해 일부 라틴아메리카 및 아시아 국가 금융시장에 대해 과거 1998년 러시아 위기와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장기자본 투자가 이루어지기보다 금리 차이에 의존한 국제 투자자금이 주로 유입됐던 것으로 보이는 국가들의 채권시장 및 금융기관 은행차입금을 중심으로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기대를 반영해 국제채권시장에서는 장기채권 금리가 많이 올랐는데, 미국 10년 장기국채 금리가 2014년 이후 처음으로 3.0%를 넘어선 상황이고, 아시아권에서는 베트남,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에서 2018년 4월에 20bp 가까이 또는 그 이상 큰 폭으로 10년 만기 국채의 가격이 오른 바 있다. 우리나라도 기준금리를 올리지는 않았지만 장기국채 금리는 오름세로 접어들었다.
이런 상황일수록 신흥국의 약한 고리에서 문제가 터지면 다른 국가로 위기가 전염될 수 있다. 1998년 러시아 위기를 보면 당사자인 러시아도 어려움에 빠지지만, 실제로는 미국도 충격을 받는데 ‘롱텀캐피탈매니지먼트’(LTCM) 사태 때문이다. 당시 LTCM은 러시아와 미국 국채의 이자율 차이가 너무 크다는 판단하에 러시아 국채에 크게 투자하고 미국 국채를 공매도(空賣渡)해 놓은 상태였다. 즉 러시아 국채의 이자율이 떨어지거나 미국 국채의 이자율이 상승하는 방향이면 돈을 벌 수 있는 구조였다. 그러나 현실은 반대로 움직였다. 러시아에 위기가 닥치면서 러시아 국채의 이자율이 급등했고 러시아와 미국 국채 간의 이자율 차이가 더욱 벌어진 것이다.
이로 인해 LTCM은 막대한 손해를 입게 됐는데, 문제는 이를 현실화하면 LTCM에 투자한 많은 미국 금융기관들 역시 동반 위기에 처할 형편이었다. 이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금융기관이 많은 자산을 매각하는 과정을 통해 미국 금융시장에서 자산 가격이 폭락한다면 미국에서도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즉 러시아 위기가 LTCM 사태를 통해 미국의 금융위기로 전염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를 막기 위해 미국 연준은 LTCM에 구제금융을 제공하게 된다.
최근같이 미국이 통화정책을 변경하는 상황에서는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는 1998년 러시아처럼 이자율 차이에 의존하는 자금이 많이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는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불안 요소가 증대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 금융시장에 직접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러한 신흥국가에 투자된 자금에 노출된 우리 금융기관이나 회사의 경우에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2018-05-1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