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18’과 ‘열여덟’은 다르다/송한수 신문국 에디터

[세종로의 아침] ‘18’과 ‘열여덟’은 다르다/송한수 신문국 에디터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입력 2023-02-24 01:54
수정 2023-02-24 01: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송한수 신문국 에디터
송한수 신문국 에디터
겨울이 깊을 대로 깊어졌으니 곧 봄이다. 꽃샘바람 뒷심이 만만찮지만 말이다.

어기차게 우리들을 움직였던 계묘년도, 벌써 두 달을 줄달음하며 까불고 있다. 비단 흐르는 세월을 한탄하는 게 아니다. 너나없이 누구에게나 야속한 터 아닌가. 다만 스스로 되짚어야 할 게 있다. 자기반성 시간이다.

글을 많은 사람에게 내보이기란 늘 조심스럽다. 이미 활자로 나온 뒤에도 단어, 문장을 두고 머리를 쥐어뜯기 일쑤다. 끝내 어떻게 읽힐 것인가를 염두에 둬서다.

업무상 동료 기자나 외부 필진이 보낸 원고를 고쳐야 할 땐 골치를 앓는다. 제한된 지면에 분량을 맞추자면 더욱 그렇다. 곁들여 필자의 취지, 팩트를 살리려면 손을 대야 해서다. 그래서 중언부언 않고 맛깔 풍기면서도 적확하게 쓰는 이에겐 존경심이 가닿는다. 악마는 ‘디테일’에 숨는 법이다.

남의 글 앞에서 자신을 돋을새김하곤 한다. 뜬금없이 도드라진 단어나 문장을 만나면 얼떨떨해진다. 맥락상 무관한데 굳이 넣었으면 어떤 배경에서인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정작 담아내고 싶은 주장이 그곳에 은밀하게 녹아들었다는 점을 알아차릴 수 있다. 애써 기다랗게 풀어놓은 이야기들을 한갓 겉치레 시늉으로 끌어내리고야 마는 셈이다. 정치 핫이슈에 얽힌 표현에서 잦다. 치켜세우고 싶거나 너무 싫어하는 특정인을 슬쩍 끼워넣는다. 문제는 감정에 치우친 표현으로 글의 요건을 놓치기 십상이라는 점이다. 출판물이라면 ‘지면 사유화’다. 처음부터 맨 끝까지 주제를 관통해야 누가 보더라도 깔끔한 것이다.

거듭 곱씹지만 글을 읽는 사람의 이해를 구하지 않는다면, 그냥저냥 제 공책에 잠가 덮어 둘 일이다. 세상과의 연결 고리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한 발짝 물러나 보더라도 글을 시원하게 여길 제 부류끼리 돌려 읽으면 그만이다.

어릴 적 교장 선생님 훈시를 떠올린다. 걸맞은 사례인지 헷갈린다. 요점이 명확하게 얼기설기 설명을 얽어 방증하고, 이를 흩트리는 표현은 삼가야 한다는 말을 건네고자 한다. 흔히 기억하건대 ‘만물이 소생하는 때’로 시작하는 장광설 막바지 표현이 사실 핵심에 해당하는 것이다. “여러분, 각오해요.” 갑작스러운 반전이지만 아이들은 도내 일제고사 성적에 대한 지적임을 꿰뚫는다.

옆에 일독을 부탁하는 방법도 좋겠다. 뜻하지 않은 모순을 찾아내 즉흥적이거나 그렇게 비칠 우려를 벗길 수 있다. 물론 의도하지 않은 잘못을 전제한다.

괜찮은 듯하지만 썩 어울리지 않는 경우도 숱하다. 예컨대 어감을 떠나 ‘18살’ 대신 ‘열여덟살’이라고 썼으면 한다. 무엇끼리 짝을 이루느냐에 따라 다르다. ‘18세’가 버금이다.

얼>말>글 순서다. 무엇이 더 중요하다는 게 아니다. 마음에 품었다고 죄다 말할 순 없고, 말로 할 것들을 오롯이 글로 옮길 순 없다.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누리되 현실에서는 더 정제되고 절제해야 할 차례로서 결코 분리할 수 없는 한덩어리다.

‘동백 아가씨’를 부르며 가사에 깃든 애타는 사연이나 1948년 국가폭력에 따른 여순(여수·순천) 사건을 떠올리며 울먹여도 무방하다. 반면 말이나 글로 표현하자면 모쪼록 격을 헤아려야 한다.

그럼 ‘선의에 의존하는 평화’는 어떤가. ‘윽박질러 생기는 평화’도 가능하다는 것인가. 또는 평화 포기인가. 한반도 핵무장론과 맞물려 씁쓸하다. 이렇게 풀이하면 과연 ‘악의적인 말꼬리 잡기’라는 메아리가 들릴까. 어떤 것이든 쪼가리 쪼가리마다 글 무게는 참 무섭다.
2023-02-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