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4일자로 스페인 국적의 바르토메우 마리 리바스(49)를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에 임명했다. 1969년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이래 첫 외국인 관장이며, 외국인이 문체부 산하 문화예술기관 수장으로 취임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2000년 개방형 직위 제도 도입 이후 공모로 선임되는 국내 공공기관의 첫 외국인 수장이다. 의미심장한 사건임에도 미술계의 반응은 잠잠하다. 몇 달 전부터 예견된 일이라 김이 빠져서일까. 논란이 거셌던 것에 비하면 지나치게 조용하다.
이렇게 조용한 것이 1년 2개월간 장고 끝에 진짜 제대로 된 적임자를 뽑았다고 보기 때문일까? 아니라고 본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관장 임명을 강행한 문체부는 이 침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지난해 10월 정형민 전 관장이 학예연구사 부당 채용 파문으로 직위해제된 뒤 올해 1~3월 관장 공모 절차를 진행했다. 인사혁신처는 미술평론가 윤진섭씨와 최효준 전 경기도 미술관장을 최종 후보로 문체부에 통보했으나 두 달간 뭉그적거리다 6월 재공모하겠다고 발표했다. 김종덕 장관은 8월 미술계의 고질적인 병폐인 홍익대와 서울대의 ‘파벌싸움’을 거론하며 “외국인 관장도 가능하다”는 말을 했다. 미술계에 두 학교 출신만 있는 것도 아닌데 서울대와 홍대의 파벌을 다스리겠다면서 외국인을 영입하겠다는 것은 무슨 논리인지 알 수 없는 노릇이었다.
실험적인 예술을 다루는 비엔날레의 예술감독도 아니고 스포츠 경기 감독도 아닌, 우리의 정신 문화를 다루는 한국 유일의 국립미술관 수장으로 외국인이 선임되는 것에 국내 미술계는 강력 반발했다. 그가 바르셀로나 현대미술관장 재직 당시 스페인 군주제를 풍자하며 예술과 권력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다룬 작품을 전시하지 않으려고 행사를 전시개관 직전에 취소하고, 두 명의 큐레이터를 해고했다는 전적을 거론하며 집단적인 반대 의사 표명을 하기도 했다. 김 장관의 의지대로 짜인 프레임에서 제대로 능력을 갖춘 인사가 지원할 리 만무했다. 외국인 한 명을 포함해 3명으로 후보가 압축됐지만 마리 관장이 낙점됐다. 한 미술계 인사는 “결과적으로 내국인 중에 적격자의 범주에 들 만한 사람이 없다는 것을 만천하에 알린 것 아니냐”며 “지금까지 미술계 발전을 위해 몸 바쳐 일한 사람들의 허탈감과 상실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상처가 크다”고 했다.
국립현대미술관장 선임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무늬뿐인 공모제, 책임운영 기관의 한계, 지지부진한 법인화 문제 등. 무엇보다도 심각한 것은 소통의 부재였다. 문체부와 미술계, 국립현대미술관과 미술계가 좋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소통의 창구가 없었다. 입맛에 맞는 언론사를 골라서 정보를 흘리는 것을 소통이라고 한다면 그건 어불성설이다. 마리 관장은 기자 간담회에서 외국인이 선임된 데 대해 국내 미술계의 반대가 크다고 하자 “애석하고 아쉬운 일”이라며 “앞으로 활동과 결과를 보고 판단해 달라”고 했다. 1년 안에 대화할 수 있는 수준의 한국어를 습득할 것이라고도 했다. 그가 미술인들의 상처를 어떻게 보듬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lotus@seoul.co.kr
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지난해 10월 정형민 전 관장이 학예연구사 부당 채용 파문으로 직위해제된 뒤 올해 1~3월 관장 공모 절차를 진행했다. 인사혁신처는 미술평론가 윤진섭씨와 최효준 전 경기도 미술관장을 최종 후보로 문체부에 통보했으나 두 달간 뭉그적거리다 6월 재공모하겠다고 발표했다. 김종덕 장관은 8월 미술계의 고질적인 병폐인 홍익대와 서울대의 ‘파벌싸움’을 거론하며 “외국인 관장도 가능하다”는 말을 했다. 미술계에 두 학교 출신만 있는 것도 아닌데 서울대와 홍대의 파벌을 다스리겠다면서 외국인을 영입하겠다는 것은 무슨 논리인지 알 수 없는 노릇이었다.
실험적인 예술을 다루는 비엔날레의 예술감독도 아니고 스포츠 경기 감독도 아닌, 우리의 정신 문화를 다루는 한국 유일의 국립미술관 수장으로 외국인이 선임되는 것에 국내 미술계는 강력 반발했다. 그가 바르셀로나 현대미술관장 재직 당시 스페인 군주제를 풍자하며 예술과 권력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다룬 작품을 전시하지 않으려고 행사를 전시개관 직전에 취소하고, 두 명의 큐레이터를 해고했다는 전적을 거론하며 집단적인 반대 의사 표명을 하기도 했다. 김 장관의 의지대로 짜인 프레임에서 제대로 능력을 갖춘 인사가 지원할 리 만무했다. 외국인 한 명을 포함해 3명으로 후보가 압축됐지만 마리 관장이 낙점됐다. 한 미술계 인사는 “결과적으로 내국인 중에 적격자의 범주에 들 만한 사람이 없다는 것을 만천하에 알린 것 아니냐”며 “지금까지 미술계 발전을 위해 몸 바쳐 일한 사람들의 허탈감과 상실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상처가 크다”고 했다.
국립현대미술관장 선임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무늬뿐인 공모제, 책임운영 기관의 한계, 지지부진한 법인화 문제 등. 무엇보다도 심각한 것은 소통의 부재였다. 문체부와 미술계, 국립현대미술관과 미술계가 좋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소통의 창구가 없었다. 입맛에 맞는 언론사를 골라서 정보를 흘리는 것을 소통이라고 한다면 그건 어불성설이다. 마리 관장은 기자 간담회에서 외국인이 선임된 데 대해 국내 미술계의 반대가 크다고 하자 “애석하고 아쉬운 일”이라며 “앞으로 활동과 결과를 보고 판단해 달라”고 했다. 1년 안에 대화할 수 있는 수준의 한국어를 습득할 것이라고도 했다. 그가 미술인들의 상처를 어떻게 보듬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lotus@seoul.co.kr
2015-12-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